해군, 제철소 입지 무시하고 작전기지 상향조정<br>청림동서 현 도구리로 이전때 어물쩍 공사 강행
속보=국방부가 지난 3년 간 포항지역에 큰 파장을 몰고 온 포항공항 활주로를 이미 10여년전 동해주민들에게 알리지도 않은 채 한차례 확장한 사실이 드러났다.
더욱이 군은 당시 인접한 포항제철소에 굴뚝과 고압철탑 등 비행지장물이 상당하고 기업 활동에 대한 규제가 예상됐음에도 포항공항을 지원항공작전기지에서 전술항공작전기지로 상향 조정함으로써 오늘의 사태를 자초했다는 비난을 면키 어렵게 됐다.
본지 취재 결과, 포항공항은 지난 2001년 여객청사가 청림동에서 동해면 도구리의 현 위치로 확장이전<본지 10월22일자 1면 등 보도>하는 과정에서 활주로가 300m 확장됐다.
이로써 1천833m길이의 활주로는 현재의 2천133m로 늘어났으며 지난해 행정협의조정 결과 대로 378m가 추가확장되는 오는 2014년 9월에는 2천511m가 된다.
군은 당시 확장 사실을 동해면 등 인근 주민들에게 알리지 않아 사실상 비밀리에 공사를 시행했으며 이를 모른 주민들은 농경지 등이 추가로 편입되는 단순한 공항 공사로 보고 별다른 관심을 기울이지 않은 것으로 드러났다.
군은 또 2001년 확장을 통해 포항공항의 자격을 지원항공작전기지에서 전술항공작전기지로 상향 조정함으로써 부산 강서구의 K-1, 대구의 K-2에 이어 K-3로 지정했다.
군사시설 및 군사시설 보호법에 따른 이 같은 조치로 포항공항 인근의 비행안전구역이 확장됨으로써 군은 작전상의 편의를 얻게 됐지만 이 일대 주민은 물론 포스코 등 기업들은 공장 증축에 상당한 제약이 가해지게 됐다.
지난 2009년 공정률 80%에서 중단된 포스코 신제강공장 신축 공사나 공장 증축이 불가능해 인근 광명산업단지 등에서 대체 부지를 찾고 있는 동일산업 사태 등 피해가 거듭되고 있는 것이다.
관계자들에 따르면 이 같은 결과는 이미 항공작전기지 상향 조정 당시에 충분히 예견됐다.
이는 당시 이미 포스코 제철소에는 고공 굴뚝과 고압선, 스테인레스 공장 등 군용기의 기체 고장을 포함한 비상 시 기체 선회에 장애물이 되는 시설이 곳곳에 설치돼 있었기 때문이다.
이에 대해 동해주민대책위의 한 주민은 “군이 지금의 문제를 자초하고도 이제는 주거지까지 침범해 공항을 확장하려는 데 대해 경악을 금할 수 없다”면서 “주민과 기업의 피해를 늦었지만 인정하고 양양공항처럼 지원항공기지로 환원시켜야 할 것”이라고 촉구했다.
/임재현기자 imjh@kbmaeil.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