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로가기 버튼

“해군, 어이없군”

임재현기자
등록일 2012-10-26 21:00 게재일 2012-10-26 1면
스크랩버튼
작년 포항시·포스코와 신제강 공사 재개 이행합의서 체결<br>1년 지나 합의에 없던 군시설용 추가부지 매입 요구 `황당`<br>해당부지에 인근 주거지도 포함… 지역민 더 큰 반발 예고

속보=해군6전단이 지난해 2월 합의된 행정협의 조정 결과와 달리 1년여가 흐른 지난 1월 포스코에 LLZ(방위각 제공 기기)의 설치 위치를 변경해 추가 부지의 매입을 요구하고 나선 사실이 뒤늦게 드러났다.

국무총리실이 운영하는 행정협의조정위원회는 지난해 2월 1일 포항시와 해군6전단, 포스코 간의 이견 조정을 통해 조정 결과 이행합의서를 체결하고 포항제철소 신제강공장의 공사 재개를 허가했다.

당시 합의 사항은 포스코가 비용 1천여억원을 부담해 활주로 378m 연장 및 성토를 통한 지표면 7m 높이기, 항행안전장비 교체설치, 신제강공장 상부 1.9m 철거 등이다.

하지만 해군6전단은 지난해 합의 이후 1년여가 흐른 올해 1월 활주로 끝에서 164m 지점에 LLZ를 설치한다며 길이 110m, 폭 128m의 추가 부지 매입을 요구하고 나섰다. 이 기기의 설치 지점은 지난해 합의 당시에는 포스코의 추가 부지 매입 범위인 207m 내 84m 지점으로 정해져 있었다.

6전단의 예상치 못한 요구로 인해 포스코로서는 이미 부담하게 될 1천억원에다 주민 보상에 상당한 부담을 더 떠안게 돼 대책 마련에 고심하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더 큰 문제는 추가 시설이 군의 요구 대로 설치될 경우 현재 도구우체국과 벧엘기도원 인근 어린이집 등 주거지까지 부지에 포함되면서 공항 확장에 반대하는 동해주민들의 더 큰 반발이 불을 보듯 뻔하다는 점이다.

이 같은 사실이 알려지자 주민반대대책위의 한 관계자는 “군이 도대체 국민의 재산과 생명을 보호하는 임무를 알고나 있는지 의아할 뿐”이라며 “행협 합의 후 1년이나 지난 시점에서 합의에도 없던 추가 부지 매입을 요구하는 처사는 적반하장이며 국민의 저항을 자초할 것”이라고 반박했다.

본지는 이에 대한 해군6전단 측의 입장을 확인하기 위해 지난 25일 여러 차례 통화를 시도했으나 성사되지 않았다.

한편 김형태 의원은 이날 오전 박승호 포항시장을 방문해 포항공항 확장 사태에 대한 의견을 교환한 데 이어 시청 브리핑룸을 찾아 24일 배포한 보도자료의 내용과 달리 `(김의원과 만난)군 측이 원론적인 협력의사를 밝힌 수준이었다`며 입장을 바꿨다.

/임재현기자 imjh@kbmaeil.com

사회 기사리스트

더보기
스크랩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