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시의 밤하늘에 별이 보이지 않는다. 간판불빛과 가로조명, 고층건물의 유리벽에서 흘러내리는 빛에 별들이 밀려났다. 도시에는 별이 없는 밤하늘이 당연해져 버렸다. 지방은 어떨까. 어차피 매한가지다. 들판에 곡식도 밤엔 자야 한다는데, 소출이 예전만 못한 까닭을 사라진 캄캄한 밤하늘로 꼽는 농민들이 있다고 한다. 청명한 하늘 아래 펼쳐진 대양의 밤에도 별이 그리 찬란하지 않다고 한다. 도시를 벗어난 멀고 먼 바다에서조차 별들을 보기 어렵다는 건, 지구환경의 변화이며 인간문명의 실패임을 말해준다. ‘밤하늘의 질저하(degradation of night sky quality)’라 부른다. 기후변화로 지구대기층 구조가 변하고, 대기중 에어로졸과 미세먼지는 육지를 넘어 해상도 덮는다.
지구 평균온도가 오르면서 해수 증발량이 증가하고, 그렇게 만들어진 수증기막은 별빛을 흐리게 한다. 대기는 더 이상 별빛을 반사하며 고요히 잠드는 투명한 공간이 아니다. 기후위기의 파편들이 대양의 하늘에도 쌓여가는 셈이다. 인공광량의 확산이 결정적이다. 광공해를 도시문제로만 여기지만, 위성관측 자료를 보면 바다 위 밤하늘 역시 20세기 후반부터 꾸준히 밝아졌다. 해안 대도시의 조명, 항만과 공항의 빛, 해안리조트단지에서 흘러드는 광량이 대기상층에서 산란되면서 수백 킬로미터 떨어진 해역에도 영향을 미친다. 지구 전체가 ‘빛의 돔(light dome)’이 되었다. 별이 사라진 것이 아니라, 인간이 만든 빛의 총량이 너무 많아 자연의 빛을 덮어버린 터이다.
대양을 오가는 선박에도 예외가 아니다. 갑판의 안전등, 수영장조명 등이 밤새 하늘로 번져오른다. 인간의 눈은 주변 조도가 일정 수준 이하로 내려가야만 어둠에 적응해 영롱한 별빛을 포착할 수 있다. 배 위에서도 ‘암적응’이 충분히 작동하지 않아 하늘과 별빛을 누리려던 기대가 무너진다. 대양을 비추던 칠흑같은 어둠이 더 이상 존재하지 않으니, 그 위를 건너는 별빛도 희미해져 버렸다. 문제는 별밤이 사라진 ‘풍경의 상실’에 그치지 않는다. 별이 없으면 인간의 서정성과 상상력의 기틀이 무너진다. 인류는 밤하늘을 올려보며 우주를 떠올렸고 시간과 계절을 낚았으며 신화를 그려내고 철학을 만들었다. 은하수와 북극성, 달과 별자리는 인간의 품에 광활한 공간을 펼쳐주었다. 널찍했던 상징성이 졸아들면 인간의 상상력도 ‘즉각적인 자극’ 중심으로 좁아든다. 자연이 선사하던 깊은 어둠의 여백이 사라지면서, 인간은 밝은 화면에만 의존하고 짜릿한 자극에만 끌리게 된다.
‘별이 빛나는 밤에’는 더이상 가능한 제목이 아니다. 지방에서도 별이 사라지고 대양에서마저 별이 안 보이는 오늘의 현실은 심각한 질문을 하나 던진다. ‘별을 잃어버린 시대에, 별을 바라보고 꿈꾸며 길러왔던 인간의 감수성과 상상력은 어떻게 지켜내야 하나?’ 기후변화와 인공광량의 확산은 기술의 문제일 뿐 아니라 인간의 본성에 질문을 던진다. 어둠은 우리가 잃어버린 자산이며 우리가 지켜내야 할 테두리다. 별을 되찾는 일은 자연을 보호하는 일이며 우리 자신을 다시 발견하는 일이다. 별을 잃은 밤하늘 아래에서, 바로 그 숙제가 또렷하게 떠오른다. 지구의 밤 풍경을 덜 밝힐 방도를 찾아야 한다.
/장규열 본사 고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