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로가기 버튼

이사부 장군, 나무 사자로 협박… 지증왕 3년 우산국 복속

최병일 기자
등록일 2025-11-26 19:44 게재일 2025-11-27 15면
스크랩버튼
해담길에서 만나는 울릉도 (14) 우산국의 수도였던 남양
햇볕이 잘드는 마을 남양

서면 남양마을 랜드마크인 투구바위, 항복한 우해왕의 투구가 변해
왕비 풍미녀는 대마도주의 딸… 사치·보물 좋아해 망국 자초 전설도
사신 통해 조공 형태로 독자성 유지… 12세기 고려 인종때 정식 편입

△ 울릉군 서면의 중심지 남양

해담길 6구간 수토사길의 끝은 학포마을이다. 수토사길 다음은 7구간 태하령 길. 하지만 수토사길과 태하령길은 바로 이어지지 않는다. 태하령길을 걷기 위해서는 다시 태하 삼거리로 돌아가 울릉공설운동장 옆길을 따라 오르거나 남양으로 가서 태하령을 넘는 방법이 있다. 

학포에서 양방향의 태하령 길로 진입하려면 어느 쪽이든 도로를 한 시간쯤 걷거나 순환 버스를 타야 한다. 버스 시간은 거의 두 시간 간격이어서 불편하다. 마침 버스 시간이 맞아 남양으로 넘어왔다. 태하령 길은 시멘트 도로가 많은데다 경사가 심하다. 그나마 남양에서 태하령을 넘어 공설운동장 방향으로 내려오는 길이 조금은 덜 고달프다.

남양 

남양은 울릉군 서면의 중심지다. 서면사무소, 파출소 등의 공공시설이 모여 있다. 남양(南陽)은 이름처럼 밝고 따뜻한 느낌이 드는 마을이다. 이 마을의 랜드마크는 마을 뒤 안에 우뚝 선 투구바위다. 우산국의 마지막 왕 우해왕이 이사부에게 항복하기 위해 벗어놨던 투구가 바위로 변했다는 슬픈 전설이 스며있다. 이사부가 우산국을 정벌하기 위해 싣고 왔던 나무 사자는 사자 바위로 변했다. 우산국 패망의 전설이 깃든 땅이 남양이다.

삼국사기 지증왕 13년(512년) 6월 기사에 우산국 패망 이야기가 전한다. 신라 이찬 이사부가 하슬라주(강릉)의 군주가 된 뒤 우산국을 복속시켰다. 우산국의 면적은 사방 백리. 지세가 험했다. 무력으로 복속시키는 것이 어려울 듯하여. 계략을 써서 복속시키기로 하고 나무 사자를 많이 만들어 전함에 나누어 싣고 해안에 이르러 “항복하지 않으면 맹수를 풀어 모두 밟아 죽일 것이다.

” 협박하자 곧 항복했다는 것이 대략의 내용이다. 나무 사자는 단지 나무 사자였을까? 신라가 두려워할 정도의 무장력을 가졌고, 소국이지만 나라의 형식까지 가진 우산국 사람들이 그토록 무지했을 까닭은 없다.

투구가 바위로 변했다는 투구바위

나무 사자는 장갑차 같은 신무기였거나 어떤 상징일 것이다. 정복했다고 하지만 실상 싸움도 없었고 저항도 없었다. 우산국으로서도 굳이 무력으로 싸워서 얻을 이득이 없으니 항복하는 형식을 취하고 독자성을 보장받았던 것은 아닐까? 우해왕이 잡혀갔다거나 죽임을 당했다거나 그의 자녀들이 인질로 갔다거나 그런 내용도 없는 것을 보면 그 추측이 타당해 보인다.

 게다가 이후에도 신라나 고려의 한 지방으로 편입되지 않고 독자성을 인정받으며 사신을 통해 조공한 것을 보면 우산국은 신라 복속 이후에도 멸망하지 않고 오랜 세월 존재했을 것으로 추정된다.

△ 대마도주 둘째딸 풍미녀 우산국 패망에 일조 

우산국의 패망과 관련해서는 그의 왕비 풍미녀 탓이라는 이야기도 전해진다. 풍미녀는 대마도주의 셋째 딸이었다. 대마도 왜구들이 우산국까지 노략질을 다녔다. 우해왕이 군사들을 이끌고 대마도까지 찾아가 도주와 담판을 했고 항복 문서를 받은 뒤 풍미녀와 혼인을 하고 우산국으로 함께 돌아왔다. 대마도와 울릉도가 혼인 동맹을 맺은 것이다. 그런데 풍미녀는 사치스럽고 보물을 좋아했다. 

그래서 우해왕은 보물을 구하기 위해 부하들을 시켜 신라까지 노략질했다. 신하와 백성들은 이를 걱정하고 그러지 말 것을 간청했지만 우해왕은 듣지 않았고 그러다 마침내 신라에 점령당했다. 후일담의 진위야 알 길이 없지만 우산국이 대마도를 대등할 정도로 강한 군사력을 가졌고 신라를 침범할 정도로 대담한 해적 국가였음을 추론케 하는 이야기다.

남양마을의 신전.

고려 때까지도 독자적인 지배세력이 있었고 독자성을 인정받았던 우산국이 멸망한 이유는 실상 신라나 고려 때문이 아니었다. 여진족의 침략이 결정적인 계기가 됐을 것으로 판단된다. 고려 현종 때 여진족의 약탈로 농사를 못 짓게 된 우산국에 이원구를 파견하여 농기구를 희사했다는 기록이 있다. 

여진족의 침략을 받은 우산국 사람들이 고려로 도망 왔다는 기록도 그 사실을 뒷받침 한다. 우산국이 고려의 정식 지방기구로 편입된 것은 12세기 중엽 인종 때다. 이는 어떤 형태로든 12세기까지 우산국이 존재했다는 뜻이다. 이후 울릉도는 주로 고려나 원나라가 목재를 징발하는 용도로 사용됐다. 울릉도의 원시림 거목들은 고려대장경 판목의 재료가 됐고 원나라의 선박 건조용 목재가 되기도 했다.

어느 때는 10여 척의 배에 목재를 가득 싣고 갈 때도 있었다고 하니 원 간섭기에 울릉도의 원시림이 상당 부분 파괴됐을 것이다. 역사에서 우산국은 어느 순간 갑자기 나타났다 갑자기 사라지고 만 나라다. 여전히 미스터리한 왕국이다.

△ 남양에 다양한 고분군 

 울릉도에 대한 조선시대 기록은 태종 3년부터 시작된다.

“강원도 무릉도 거주민들에게 육지에 나오도록 명령하였는데 이것은 감사의 품계에 따른 것이다.”(태종실록 3년8월 병진)

 태종 12년에는 보다 구체적인 울릉도 현황 보고가 등장한다.

양쪽으로 골짜기가 깊고 좁아 통처럼 생겼다 하여 붙여진 통구미 

강원도 관찰사가 울릉도 유산국의 섬사람에 대해 보고하다

의정부(議政府)에 명하여 유산국도(流山國島) 사람을 처치하는 방법을 의논하였다. 강원도 관찰사가 보고하였다.

“유산국도(流山國島) 사람 백가물(白加勿) 등 12명이 고성(高城) 어라진(於羅津)에 와서 정박하여 말하기를, ‘우리들은 무릉도(武陵島)에서 생장하였는데, 그 섬 안의 인호(人戶)가 11호이고, 남녀가 모두 60여 명인데, 지금은 본도(本島)로 옮겨 와 살고 있습니다. 이 섬이 동에서 서까지 남에서 북까지가 모두 2식(息) 거리이고, 둘레가 8식(息) 거리입니다. 우마(牛馬)와 논이 없으나, 오직 콩 한 말만 심으면 20석 혹은 30석이 나고, 보리 1석을 심으면 50여 석이 납니다. 대[竹]가 큰 서까래 같고, 해착(海錯))과 과목(果木)이 모두 있습니다.’고 하였습니다. 이 사람들이 도망하여 갈까 염려하여, 아직 통주(通州)·고성(高城)·간성(杆城)에 나누어 두었습니다.“ (태종실록 23권, 태종 12년 4월 15일 기사 3번째기사)

남서동고분군. 

남양에도 현포처럼 고분들이 많다. 남양천을 따라 산 쪽으로 올라가다 친환경 사료 공장을 지나면 남서동고분군 이정표가 나온다. 주민 한 분이 나물 밭을 일구고 있다. 약간의 계단을 오르면 집 뒤 안에 고분들이 있다. 고분은 덤불 속에 있어 찾기가 쉽지 않다. 현포 고분과 거의 흡사하다. 무덤을 머리 위에 두고 들어선 집. 생사가 나란히 이웃지간이다. 저승과 이승이 머리를 맞대고 있다. 대문 밖이 황천이란 말이야말로 삶의 진실이다. 고분을 내려와 다시 이승으로 진입한다. 발전소 지나 남양천 좌측 고갯길이 태하령으로 가는 길이다.

1.5km 가량의 숲속 오솔길. 옛사람들이 오가던 삶의 통로다. 두 발 만이 유일한 이동 수단이던 시절의 울릉도. 이 옛길은 울릉도 옛사람들의 걸음걸음을 다 기억하고 있을까? 남양에서 한 시간 반쯤 걸으니 태하령 고갯마루 부근이다. 산마루에 오르니 다시 갈래 길. 좌측은 구암으로 내려가는 길이고 오른쪽이 태하마을로 가는 길이다. 

이 숲길은 천연기념물들이 살고 있는 귀한 길이다. 내내 솔가지와 솔방울들이 바닥에 깔려있다. 무얼까? 그냥 솔방울 같지는 않은데. 이 솔방울들은 솔송나무와 섬잣나무 열매들이다. 일본에는 흔하지만 한국에서는 울릉도에만 유일하게 자생하는 나무들이다. 길가에는 너도밤나무도 문득문득 서 있다. 이 또한 울릉도에만 사는 귀하신 몸들이다. 숲은 천연기념물 50호로 보호받고 있다. 이렇게 또 귀하디 귀한 길을 걸었다.

/ 강제윤(시인, 사단법인 섬연구소 소장)

해담길에서 만나는 울릉도 기사리스트

더보기
스크랩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