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담길에서 만나는 울릉도 (13)태하마을 끝자락 자리한 수토역사전시관
불법 어로·벌목 일본인 축출 공적 기념 2017년 4층 규모 완공
1882년 이규원 검찰사 학포에 입도, 지도·복명서 조정에 올려
고종, 울릉도 개척령 선포… 16가구 54명 들어와 개척시대 열어
△ 수토 역사 담긴 수토역사전시관
태하마을 해변 끝자락에는 수토역사전시관이 들어서 있다. 수토(搜討)란 무슨 뜻일까? 전시관에서는 “수토사는 조선시대 울릉도와 독도에서 불법 어로와 벌목을 일삼는 일본인을 수색하고 토벌하기 위해 조정에서 2∼3년마다 파견한 관리를 일컫는다”고 설명하고 있다. 그래서 전시관은 수토사들의 수토 활동을 기리기 위해 건립됐다.
수토역사전시관은 2011년부터 사업비 192억원으로 공사를 시작해 2017년 11월 28일 옛 울릉중학교 태하분교 터(5234㎡)에 4층 규모로 완공됐다. 전시관에는 수토사들의 임무를 소개한 문헌, 수토사들이 조정에 올린 울릉도 지도 등이 전시되어 있다.
수토사들이 타고 왔던 수토선 모형도 전시되어 있다. 전시관 곳곳에는 또 울릉도와 독도에 대한 정보, 수토 역사에 대한 정보나 자생식물 및 해양식물 등에 대한 정보를 수록한 미디어 시설도 마련되어 누구나 체험할 수 있다. 수토사가 울릉도를 순찰한 후 일행들의 이름을 남긴 각석문 주변에는 휴게 공간과 전망대도 있다. 전시관에서는 상설 전시 외에도 ‘수토사‘와 관련한 다양한 전시가 이루어진다.
전시관은 울릉도 수토가 안용복(安龍福) 도일 사건을 계기로 시행되었다고 설명하고 있다. 1693년(숙종 19년) 울릉도에서 고기잡이를 하던 안용복을 비롯한 어부 40명이 울릉도 바다에서 고기를 잡던 일본 어부들과 충돌했고 그 과정에서 안용복 등은 일본 어부들에 의해 오키시마[隱岐島]로 납치됐다.
안용복 사건 이후 조선 정부는 한두 해 간격으로 강원도 월송만호(越松萬戶)와 삼척첨사(영장)를 울릉도에 보내 국법을 어기고 주민들이 몰래 거주하는지 감시하고 수색하여 토벌하게 했다. 실상 수토사들은 왜인들보다 조선인들에 대한 수토가 주된 목적이었다.
과도한 조세 수탈과 각종 노역을 피해 울릉도로 도망간 주민들은 수토사들에 의해 다시 육지로 잡혀 나가 처벌을 받고 각종 역역(力役) 동원됐다. 하지만 수토에 필요한 인력과 물자를 강원도 영동 지역 백성들에게 부담시키는 바람에 폐해가 컸다. 결국 1894년(고종 31) 12월에 울릉도 수토 정책은 폐지되었다.
△ 울릉도 숨어사는 백성들 왜구 취급하기도
조선왕조실록에는 수토 정책을 수행했던 관리를 수토관이라 칭하고 있다. 수(搜)는 찾다, 뒤지다, 토(討)는 공격하다, 죄를 물어 벌하다, 찾는다는 뜻이다. 조선왕조실록에 등장하는 수토란 우리 섬들을 침범한 왜구들을 수색하고 토벌했다는 내용이 대부분이다.
“본도의 병사와 좌·우도의 수사로 길을 나누어 수토(搜討)하여 모든 왜인을 쏘아 죽일 만하면 죽이고 생포할 만하면 생포하여 형세를 보아 조치하되 한편으로 변방의 위엄을 보이고, 한편으로 행선(行船)을 익히는 것이 편할 것 같습니다. 경상도에서는 삼포 왜인이 있으므로, 만일 행선을 잘못하면 도리어 왜노(倭奴)의 웃음거리가 될 것이오니 함께 거행하지 마옵소서. 그리고 도주(島主)에게 통문하는 일은 전의 논의에서 이미 정하였습니다.“(연산군일기22권, 연산 3년 3월 6일 무신 1번째기사)
그런데 안용복 사건 이후부터는 왜구들에게 해당하던 수토가 울릉도에 숨어 살던 조선 사람들을 대상으로 이루어졌다. 실상 울릉도에 숨어 살던 백성들을 왜구들과 다름없이 본 것이다. 1893년 이전까지 울릉도는 공도 정책으로 주민 거주가 금지됐다. 그래서 조정에서는 주기적으로 안무사나 ‘수토관’을 보내 주민들을 쇄환(刷還)하는 정책을 폈다.
주민들이 일군 터전이 왜구의 근거지가 되거나 주민들이 왜구와 결탁할 가능성을 차단하고 군역과 부역을 피해 도망친 주민들을 잡아들이기 위한 정책이었다. 그런 ‘쇄환 정책’의 역사를 아카이빙 한 것이 수토역사전시관이다. 수토역사전시관을 둘러보면서 섬의 역사는 여전히 섬사람들의 것이 아니라는 생각을 지울 길이 없다. 마음이 아리다.
관의 수탈을 피해 또 먹고 살기 위해 섬으로 숨어 들어가 살았던 사람들. 그들을 ‘수색하고 조사'해서 잡아들여 형벌을 받게 한 이들이 수토사, 수토관, 안무사들이다. 토벌대장들인 것이다.
또 울릉도를, 독도를 지키겠다고 일본까지 가서 독도가 우리 땅이란 문서를 받아내고 돌아온 안용복에게 상을 줘도 모자랄 판에 유배형에 처한 것이 조선왕조였다. 섬을, 울릉도를, 독도를 지킨 것은 결국 왕조가 아니었다. 좌수영의 천한 노꾼 출신 안용복 같은 이나 죽음을 무릅쓰고 울릉도로 들어가 농사를 짓고 해산물을 채취해 먹고 살던 백성들이었다.
그런데 울릉도를 지킨 백성들을 기리는 기념관이 아니라 이들을 잡아들인 토벌대장을 기리는 역사관이라니. 섬은, 섬사람들은 여전히 천대받고 있다는 느낌을 지울 수 없다. 이제 섬에 대한 왜곡된 역사관을 바꿔야 마땅하다.
그러므로 수토역사전시관은 울릉도를 지켜온 백성들을 기려온 역사관으로 바뀌는 것이 좋을 듯하다. 그렇다고 해서 독도가 우리 땅이란 사실이 변하지 않는다. 독도를 지킨 것은 처벌을 각오하고 울릉도에 숨어들어와 살던 울릉도 선주민들, 조선의 백성들이었기 때문이다.
△ 마을 뒷산이 학처럼 생겼다 하여 학포로 명명
수토 역사관을 둘러보고 다시 버스 정류장 쪽으로 되돌아와 삼도사 옆을 지나면 학포로 넘어가는 옛날 산길이 나온다. 사전 지식이 없으면 찾기 어렵다. 길가에 이정표가 있으면 좋을 듯하다. 옛길은 가파르다. 이런 깎아지른 산길을 걸을 때마다 새삼 지구가 둥글다는 진리를 깨닫는다.
멀리서 보면 수직에 가까운 이 길도 실상은 수직이 아니다. 둥글게 굽어져 있다. 지구상에 직선은 없다. 직선처럼 보일 뿐 모두가 곡선이다. 그래서 우리가 이 가파른 수직의 길에서도 중력의 도움을 받아 두려움 없이 길을 갈 수 있는 것이다. 그뿐인가? 아무리 높은 곳도 지구 반대편에서 보면 가장 낮은 곳이다. 높다고 생각하지만 높은 곳은 없다. 낮은 곳도 없다. 직선도 없고 높은 곳도 없으니 우리는 그저 공처럼 둥근 길을 끊임없이 돌고 돌 뿐이다. 높은 곳이라 환호할 일도 낮은 곳에 추락했다 절망할 일도 아닌 것은 그 때문이다.
20분 남짓 가파르더니 길은 다시 산의 허리를 감싸고도는 평탄한 길이다. 태하마을에서 고갯마루까지 30분 남짓 걸렸다. 학포마을 쪽으로 내려가는 길은 평탄하다. 산길을 내려서니 또 갈림길이다. 오른쪽 해변 외딴집 쪽으로 가면 포구로 이어진 도로가 나온다.
태하에서 학포항까지는 1시간 거리. 마을 뒷산이 학의 모양처럼 생겼다 해서 학포라 했다 한다. 작은 황토기미라고도 한다. 1882년 이규원 검찰사가 울릉도에 사람들이 거주할 수 있는지 현황 파악을 해보라는 조정의 명을 받고 첫발을 디뎠던 곳이 바로 이 학포다. 학포 선창가 바위에도 각석문이 있어서 당시 상황을 전해준다. ‘임오명각석문’이다. 임오년에 이규원이 울릉도를 답사한 뒤 새긴 각석문이란 뜻이다.
이규원은 수행원 102명을 거느리고 1882년 4월28일 강원도 평해군 구산포를 출발해 다음 날 이곳 학포로 입도했다. 이규원은 학포를 출발해 태하, 나리분지, 성인봉, 저동, 도동 등을 거처 다시 학포로 돌아와 지도와 복명서를 작성했고 암각을 새겼다. 이 보고서를 바탕으로 고종은 울릉도 개척령을 선포했고 1883년 4월부터 7월 사이 공식적인 입주민 16가구 54명이 울릉도로 들어와 개척시대를 열었다. 공식 입도 140여년, 울릉도는 여전히 개척시대를 통과하고 있다.
/강제윤(시인, 사단법인 섬연구소 소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