걷기 천국 울릉도-<10>길에서 깨닫는 한 목숨 죽어야 한 목숨 살아지는 생의 이치
△ 대풍감 대한민국 10대 비경으로 꼽힌 곳
울릉도 독도 과학 연구기지를 지나 고개 하나를 넘으니 대풍감이 수호 신장처럼 떡 버티고 서있다. 그 위용이 압도적이다. 대풍감은 산악 잡지인 ‘월간 산’에서 대한민국 10대 비경으로 손꼽기도 했던 곳이다. 대풍감 해안 절벽의 향나무 자생지는 천연기념물 49호다.
대풍감이란 이름은 항해하던 돛단배가 바람이 멈추자 바람을 기다리며 정박하던 곳이라 붙여진 이름이라 한다. 기다릴 대(待) 바람 풍(風), 대풍감. 감은 작은 만이다. 바다나 강, 냇물, 들판 등이 산과 산 사이로 굽이쳐 들어가서 형성된 작은 만이나 골짜기, 여울 등을 구미, 기미, 꾸미, 금, 금미라 한다. 선창구미, 샘기미, 따순기미 등도 다 여기에서 파생된 이름들이다.
대풍감은 대풍기미 혹은 대풍구미, 대풍금 등에서 변형된 것이다. 기미의 어원은 여진어에서 왔다. 수변을 뜻하는 여진어 kueima에서 유래했다. 아이누어 kume, 공고어 komig도 같은 뜻이다. 대풍감은 바람을 피하기도 바람을 기다리기도 좋은 지형이다.
떡 버티고 선 해안 절벽 향나무 자생지 천연기념물 49호 지정
육지에서 재배 안되는 특산물 부지깽이, 눈 속에서 새순 올려
평상시는 상주 인구 8000여명… 나물철이면 1만2000명 북적
그런데 대풍감을 앞에 두고 길이 끊겼다. 길을 잘못 들었던 것이다. 대체 길은 어디로 이어질까? 오는 길에 이정표가 없었다. 울릉군청에 전화로 해담길 ‘현포 태하 수토사길’ 코스에 대해 물은 뒤 다시 되돌아 나간다. 길은 과학기지 건물 뒤편 숙소동 옆에서 이어진다. 기지 뒤로 가니 안내판이 서 있다. 길가에서는 보이지 않아 지리를 잘 아는 이가 아니고는 찾기 힘들다.
해변 도로가에 이정표가 세워져야 할 듯하다. 과학기지가 들어서 있는 지역은 웅포다. 움푹하게 들어간 곳에 모퉁이가 이어졌다고 해서 웅퉁구미라 부르다 웅포가 됐다. 웅퉁개라고도 부른다. 과학기지 옆으로 몇 채의 민가가 있고 과학기지 안의 작은 공원에는 전마선 두 척이 전시되어 있다.
노를 저어가며 조업을 하던 울릉도 옛날 어선이다. 전마선에는 노뿐만 아니라 키도 있다. 키가 있다는 것은 저 배가 돛을 달고도 다녔다는 뜻이다. 돛을 달지 않으면 키가 따로 필요치 않다. 그냥 노로만 가는 전마선은 노 자체가 키의 역할을 하기 때문이다.
언덕으로 이어지는 데크길 입구에 갈매기 한 마리가 죽어 있다. 뱃속의 내장만 파먹고 몸체는 그대로 버려둔 것이 필시 맹금류의 짓이다. 그 시체 위에서 파리 떼가 잔치를 벌이고 있다. 누군가의 죽음이 누군가에게는 축제가 되기도 하는 세상. 한 목숨 죽어야 한 목숨 살아지는 생애의 한낮. 바다와 하늘은 더없이 푸르고 햇살은 빛난다.
△ 섬부지깽이 울릉도의 특산물
가파른 언덕을 5분 남짓 오르자 갈래 길이다. 여기도 이정표가 없다. 왼쪽에는 빈집, 오른쪽은 오솔길이다. 오른쪽 길로 가다가 또 길이 끊겨 되돌아 나와 빈집 쪽으로 가니 다시 길이 이어진다. 빈집을 지나면 시멘트 도로다. 이렇게 자동차 도로로 이어져서 현포령을 넘게 된다. 내내 다른 길 없이 차를 따라 태하까지 이어지는 길이다.
도로로 오르니 노인장 한 분이 밭에 서 계신다. 나물밭 주인 어르신. 이 일대의 땅 5000여 평에 산나물 농사를 지으신다.
“저거는 부지깽이 밭입니다. 4월 초순이면 새순이 멋지게 올라옵니다. 눈 속에 살다가 아주 탐스럽게 올라옵니다.”
겨우 내내 눈밭에서 몸을 웅크리고 있던 부지깽이 새순이 눈 녹자마자 쑥 올라온다는 말씀.
“부지깽이 저거 육지에서 종자 가져다 누가 재배하려고 심어봤는데 처음에는 먹을 만하다가 2년쯤 되니 쓰디써서 못먹겠더래요. 그래서 육지서는 재배가 안돼요. 울릉도만 돼.”
섬쑥부쟁이의 울릉도 이름이 부지갱이다. 부지깽이, 자원,자완,백원,청원,산백국 등 다양한 이름이 있다. 쑥부쟁이는 전국 산야에 자생하지만 섬쑥부쟁이는 일본과 울릉도에서만 자라는 다년초다. 비타민 A 와 C가 풍부하고 단백질, 지방, 당질, 섬유질, 칼슘, 인 등이 다량 함유되어 있다고 한다
웬만큼 돈이 된다 싶으면 전국 각지에서 따라 재배할 텐데 부지깽이는 육지에서 재배가 안 되니 울릉도만의 특산품이란 말씀이다. 강화 순무도 그렇다. 타 지역에 종자를 심으면 그 맛이 안 난다. 토질이 맛을 좌우하니 특산품으로 지역주민들이 생계 수단 삼을 수 있는 이유다.
“묵나물만 나가다 오륙년 전부터 생나물도 나가니 인기가 좋습니다. 부지깽이는 약을 치지 않습니다.”
노인은 젊어서 육지에 나가 돈벌이를 했다. 울릉도에는 먹고 살길이 막막해서였다. 그때 고생을 생각하면 아직도 피눈물이 난다.
“두 번 용서가 없어요. 잘못하면 때리기까지 하고.”
그런 육지의 매정한 인심이 싫어서 30년 전쯤 고향으로 돌아와 농사를 짓기 시작했다.
“내 일이니 자유로워서 좋아요. 칠십 넘어도 일 그만하고 집에 가란 소리 하는 사람도 없고.”
노인은 여전히 힘든 농사일이지만 자유롭게 할 수 있으니 더없이 행복하다.
“나는 화학 비료도 안 써요. 퇴비만 이삼백 포 받아서 다 뿌립니다. 약도 안 해요. 암환자들이 많잖아요. 그게 농약 치고 화학 비료 뿌린 거 먹어서 그래요. 친환경 재배해야 해요.”
△ 화학비료 안쓰고 재배한 귀한 나물
옛날에는 소를 길러서 거기서 나온 소똥과 풀을 섞어 만든 퇴비를 몇백 짐씩 져 날라다 농사를 짓곤 했었다. 또 옥수수 같은 작물을 심은 뒤 수확하고 밭을 갈아주면 뿌리랑 가지가 썩어서 거름이 됐다. 그것이 산성화를 막아줬는데 지금은 다들 화학 비료를 쓰니 밭이 산성화 된다. 그래서 노인은 자신의 밭에 일체 화학비료를 안 쓴다. 나물 중에는 참고비가 제일 비싸다. 2019년 기준, 참고비는 말린 것 400 그램 당 6만원 쯤에 출하한다는 말씀.
“고비나 삼나물이 사포닌이 많습니다. 삼나물은 잎이 꼭 인삼 잎 같아요. 약효도 좋은데 재배도 까다롭습니다.”
80살의 노인은 여전히 청년처럼 정정하다. 아직도 5000 평이나 되는 밭에 농사를 짓는다. 4월-5월 두 달이 집중적인 나물 채취 철이다. 이때는 일해 줄 사람도 들어온다. 평상시 울릉도 상주인구가 8000여 명인데 나물 철이면 1만2000명으로 늘어난다. 모두 나물 농사 인부로 뭍에서 들어오는 것이다. 노인은 일 년에 150일 정도 일한다.
나물을 길러서 4000만 원 정도 판매해 경비 제하고 2000만 원의 수익을 얻는다. 제법 쏠쏠한 벌이다. 그래도 이제는 조금 쉬다 가고 싶은 마음이 들기도 한다. 젊어서는 약초 농사도 지어봤고 밭 주변에는 온갖 과일나무를 다 심어도 봤다. 감나무, 애기사과, 벚나무, 동백 등을 심었다. 그런데 과일은 돈을 벌기 위해 심은 것이 아니다. 경관용으로 심었다.
노인과 헤어지고 길을 따라 올라가는데 애기사과 나무 열매가 잔뜩 열렸다. 잘 익은 것 몇 개를 따서 허겁지겁 먹는다. 노인 덕에 오랜만에 맛보는 과일. 누적된 생애의 갈증마저 풀리는 듯하다.
/강제윤(시인, 사단법인 섬연구소 소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