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로가기 버튼

해군 초계기 추락, 구조적 문제⋯‘직접 원인은 특정 불가’

단정민 기자
등록일 2025-11-13 17:23 게재일 2025-11-14 5면
스크랩버튼
Second alt text
지난 5월 29일 오후 1시50분쯤 포항시 남구 동해면 신정리 야산에서 해군 P-3 해상초계기가 추락했다. 군 관계자와 소방대원 등 관계기관에서 실종자 수색과 현장 수습을 하고 있다. /경북매일 DB

해군은 지난 5월 포항에서 추락해 4명이 목숨을 잃은 P-3CK 해상초계기 사고의 직접 원인을 ‘규명 불가’로 결론 내렸다. 사고기의 비행기록장치(FDR)가 장착돼 있지 않고, 음성녹음장치(CVR)도 지상 충돌과 화재로 심하게 손상된 탓에 조종실 내부 상황을 확인할 수 없었다는 이유에서다. 

그러나 기계적·인적·환경적 요인이 복합적으로 작용한 결과 사고가 났다는 판단이 나왔다. 특히, 조종사 인력 부족, 훈련 기회 축소, 기량 관리 미흡이 장기간 누적되면서 안전 체계 전반을 약화시켜 온 구조적 문제가 있었다는 평가도 보태졌다. 

13일 조사 결과를 발표한 해군 민·관·군 합동사고조사위원회는 사고기 분석이 사실상 기지 주변 폐쇄회로(CC)TV 영상과 P-3 시뮬레이터 재연에 의존할 수밖에 없었다고 설명했다. 분석 결과 사고기는 2차 이착륙 훈련을 위해 이륙한 뒤 상승 선회 구간에서 속도가 감소하고 받음각(AOA)이 증가해 실속(Stall) 여유를 잃은 것으로 나타났다. 고도 상승이 미미한 상태에서 실속에 진입해 조종 불능 상태로 이어졌다는 분석이 나왔다. 

기체 잔해 정밀 조사에서는 1번 엔진 파워터빈 1단에서 내부이물질(IOD)에 의한 손상이 확인됐다. 연소실 내부 물질과 동일한 성분이 검출됐으며, 조사위는 이 손상이 진동·소음을 유발해 조종사의 주의력을 분산시켰을 가능성이 있다고 밝혔다. 그러나 전체 엔진은 지면 충돌 전까지 작동하고 있었던 것으로 나타나 사고의 직접 원인으로 단정할 근거는 없다고 설명했다. 

사고기에는 실속 경보장치가 장착돼 있지 않았고, 받음각 지시계 역시 조종사가 즉시 확인하기 어려운 위치에 설치돼 있었다. 비행교범에 명시된 실속 회복훈련과 조종 불능 회복훈련을 실제 비행교육 과정에서 시행하지 않은 사실도 확인됐다. 조사위는 이러한 요소들이 실속 징후 인지와 초기 대응을 어렵게 만들었을 가능성이 있다고 봤다. 

환경적 요인도 영향을 준 것으로 나타났다. CCTV 영상에는 조종사가 지면 충돌 직전 기수를 들어 회복 조작을 시도한 모습이 포착됐지만, 이미 깊은 강하각으로 저고도에 진입한 상태여서 회복할 여유 고도가 절대적으로 부족했다고 조사위는 설명했다.

해군은 이번 사고를 계기로 △조종사 비행훈련 강화 △실속·조종 불능 회복훈련 정례화 △엔진 연소실 검사 주기 단축 △받음각 지시계 위치 개선 및 추가 설치 △비행안전 예규 보완 등 재발 방지 대책을 추진할 예정이다. 비행이 중단된 P-3CK 기종의 운항 재개 시점은 향후 시험비행을 거쳐 최종적으로 결정하기로 했다.

해군 관계자는 “순직 장병들의 명복을 빌며 유가족 여러분께 깊은 조의를 표한다”고 말했다.

/단정민기자 sweetjmini@kbmaeil.com

사회 기사리스트

더보기 이미지
스크랩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