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터에서 한 푼 두 푼 평생 모은 돈이에요“···문경시민 전체가 ‘뭉클’
문경 호계면 신영에 사는 이경희 어르신(90)은 거동이 조금 느릴 뿐 평생 해온 일을 멈춰본 적이 없다. 손가락 마디는 굽어 있고, 허리는 매일같이 아프다.
눈가에는 어르신이 겪은 고난했던 세월을 말해주듯 깊은 주름이 잡혔고, 젊었을적 맑게 빛나던 눈동자도 이제는 조금씩 흐려졌다. 그럼에도 활짝 웃는 어르신의 표정은 마치 ‘천사’와 같다.
어르신은 계절이 바뀔 때 마다 점촌전통시장을 찾는다. 고추·배추·참깨·마늘 등 아주 작은 밭에서 길러낸 농산물을 한 보따리씩 머리에 이고 나와 시장바닥에서 판다.
장터에서 흘린 땀과 근근이 모은 수입은 1000만원이라는 숫자로 커졌다. 그리고 그 돈은 수능시험을 사흘 앞둔 지난 10일 문경시청 접견실 테이블에 장학금으로 놓였다.
가진자들에게는 적은 돈일지 모르지만, 이 어르신에게 1000만원은 ‘거금’이다. 이 어르신은 이날 재단법인 문경시장학회에 장학금을 전달하면서 이렇게 말했다.
“나는 학교에 못 다녔어. 배우는게 얼마나 소중한지 평생 살며 알게 됐지. 우리 아이들만큼은 배우지 못하는 것에 서럽게 우는 일이 없기를 바랄 뿐이야”
이 어르신에게 배움이란 ‘갖고 싶었지만 끝내 가지지 못한 꿈’이었다. 일제강점기, 6·25전쟁, 산업화의 고단한 시절을 겪으며 늘 배움보다는 생존이 먼저였고, 학교 보다는 일터가 우선이었다. 어려운 가계를 꾸리면서도 이 어르신은 자녀 6남매를 모두 고등학교 또는 대학까지 공부를 시켰다. 손자와 손녀들 중에서는 석사·박사들도 있다.
그렇게 90년을 살아온 어르신은 바짝 마르고 검게 탄 손으로 직접 키운 농산물을 다듬어 장터로 가져갔고, 쓰러질 듯 지친 몸을 부여잡으며 배움에서 소외된 자신의 과거를 누군가의 미래 희망으로 바꿨다.
어르신이 장학금을 내겠다고 하자 자녀들은 “우리들이 낼 테니 어머니는 그냥 계시라"고 했다. 하지만 어르신은 벌써 은행에서 돈을 찾아놓고 시청으로 가겠다고 했고, 자식들도 어쩔 수 없이 어머니의 뜻을 받들었다. 자녀들은 "내년부터는 우리 자식들이 어머니의 뜻을 이어가겠다”고 다짐했다.
장학금 기탁식 현장은 조용했지만 어르신의 정성은 그 무엇보다 크고 마음은 뜨거웠다. 어르신의 자녀들 중 3명이 ‘자랑스러운 장학금 기탁현장’을 지켰다. 신현국 문경시장은 깊이 고개를 숙이며 어르신에게 감사의 뜻을 전했다.
어르신은 “나는 늙었지만 문경의 아이들은 아직 젊잖아. 그 아이들이 잘 되면 그게 고향이 잘 되는 거지”라며 주변의 칭찬에 쑥스러운 표정을 지었다.
신 시장은 “이경희 어르신의 장학금은 ‘돈’이 아니라 ‘삶의 이야기’이고 ‘땀의 기록’인 만큼 문경의 아이들이 이 귀한 뜻을 잘 이어받아 마음껏 꿈을 펼칠 수 있도록 꼭 의미있게 쓰겠다”고 화답했다.
문경시장학회는 이경희 어르신의 뜻을 새기며 특히 경제적 어려움때문에 학업을 잇기 힘든 학생들을 위해 기탁금을 사용할 예정이다.
문경시민 김진수씨(48)는 “너무 감동적이다. 고향사랑, 아이사랑을 몸소 실천하신 분이시다. 장학금 쾌척소식을 들은 이웃주민들도 한결같이 이경희 어르신께 큰 감사의 박수를 보낸다”고 말했다.
글·사진/고성환기자 hihero2025@kbmaeil.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