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로가기 버튼

포항, 수소연료전지 선도도시 만든다

김진홍 기자
등록일 2025-11-06 16:48 게재일 2025-11-07 1면
스크랩버튼
2025포항 국제수소연료전지 포럼, 포항라한호텔서 열려
“수소경제 전환, 산업생태계 재편의 분기점··· 포항서 글로벌 전략 논의”
동해안권 ‘수소 메가벨트’ 구축 본격화··· 포스코 HyREX, 세계 표준 경쟁 선도
Second alt text
6일 오후 포항 라한호텔에서 열린 ‘2025 포항 국제수소연료전지 포럼’에서 이강덕 포항시장을 비롯한 내빈과 포럼 발표, 토론자 등 국내외 전문가들이 기념 촬영을 하고 있다. /이용선기자

수소경제 전환이 글로벌 산업전략의 핵심 의제로 부상한 가운데 포항이 수소산업 생태계 논의의 중심 무대로 부상했다.

‘포항 국제수소연료전지 포럼(POFC 2025)’이 6일 오후 포항 라한호텔에서  ‘지속가능한 미래를 여는 수소경제’를 주제로 열렸다. 포럼에는 국내외 수소 기술 기업과 연구기관, 정책 전문가 등 200여명이 참석해 수소 생산·운송·저장·활용 전과정의 기술 발전 방향과 산업 적용 전략 등 산업 생태계 확장방안이 심도있게 논의됐다. 

 

이강덕 포항시장은 개회사에서 “포항은 수소경제 기반의 녹색성장 모델을 완성해 대한민국의 미래 산업 전환을 선도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김재홍 한국수소연합 회장은 기조연설을 통해 “수소가 탄소중립 시대의 필수 대안일 뿐 아니라 에너지 안보의 핵심 수단이다”고 강조했다. 이어 “한국은 에너지의 90% 이상을 해외에 의존하고 있는 만큼 수소는 에너지 자립과 공급망 위험을 동시에 해결할 수 있는 전략 자산”이라고 말했다. 

기술 세션에서는 수소 산업을 실증에서 산업화로 전환시키기 위한 현실적 과제가 제시됐다. 

AVL 위르겐 레히베르거 사업부장은 “수소관련 기술을 산업에 적용하려면 그에따른 비용 경쟁력 확보가 관건”이라고 지적했다. 로이드선급 토마스 바이어 박사는 “수소·암모니아 연료추진 선박 전환이 선급 인증체계를 중심으로 명확한 안전기준을 확보하며 가속화될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진 두번째 세션에서 우성훈 아모지 대표는 ‘수소경제의 열쇠-암모니아’를, 김민석 에스모빌리티(주) 대표는 ‘수소사회를 위한 연료전지 활용 방안’을, 최장회 포스코홀딩스 탄소중립전략실 부장은 ‘한국형 수소환원제철 기술개발 현황’을 발표하며 수소 활용 확대의 산업적 가능성과 기술혁신 전략을 제시했다. 

 

포스코는 지난달 30일 호주 BHP와의 기술협력을 확대하며 포항제철소내에 연간 30만t 규모의 ‘HyREX 데모플랜트’를 건설 중이다. HyREX는 가루 형태의 미분광을 펠릿화 과정 없이 바로 수소로 환원시키는 세계 최초의 공정으로 2028년 실증 가동하는 것이 목표이다.

이날 패널토론에서는 포항·울산·강원 동해안권 수소 메가클러스터 구축 전략이 집중 논의됐다. 

토론에 참가한 전문가들은 “수소경제는 단일 기술이 아니라 도시-산단-항만-제철소-조선 등으로 이어지는 복합 생태계 구축이 핵심”이라며 “동해안권은 이 조건을 갖춘 드문 지역”이라고 말했다.

수소산업계의 한 전문가는 이번 포럼을 “수소 산업의 비전, 기술, 인증, 공급망, 산업 전략을 연결한 실질적 전략 플랫폼이었다”고 평가했다.

 

/김진홍경제에디터 kjh25@kbmaeil.com

경제 기사리스트

더보기 이미지
스크랩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