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로가기 버튼

행정 주도 빈집 철거 사업은 한계···'거버넌스형' 빈집 관리 모델 필요

단정민 기자
등록일 2025-11-03 16:49 게재일 2025-11-04 5면
스크랩버튼
포항시 ‘대토론회’ 개최
행정 주도 획일적 철거 사업보다 소유주·시민·공공이 함께 관리
‘범정부 빈집관리계획’ 접목 포항형 소규모 정비·재생 적극 도입
공유·휴식의 오픈스페이스 전환… 문화·돌봄 공간 활용 의견도
Second alt text
‘포항시 빈집 정비 및 관리방안 대토론회’가 3일 오후 시청 대회의실에서 열렸다. 한수경 건축공간연구원 부연구위원이 빈집 발생 현황과 관리방안에 대해 발표하고 있다. /이용선기자 photokid@kbmaeil.com

도시형과 농촌형이 공존하는 복합도시 포항에서는 행정이 주도하는 철거형 사업보다는 소유주·시민·공공이 함께 관리하는 거버넌스형 빈집 관리 모델이 필요하다는 주장이 나와 주목된다. 

한수경 건축공간연구원 부연구위원은 3일 열린 ‘포항시 빈집 정비 및 관리방안 대토론회’에서 도시형과 농촌형 빈집이 공존하는 복합도시인 포항은 획일적 정비보다 지역 맞춤형 관리체계가 필요하다는 점도 강조했다. 

한 부연구위원에 따르면, 2019년 기준 노후 공동주택 빈집 수는 포항이 3556호로 전국 3위 수준이다. 단독주택뿐 아니라 노후 공동주택의 공실도 빠르게 늘고 있다. 한 부연구위원은 “단기적 철거보다는 주기적 실태 파악을 통한 중장기 관리·활용 계획이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윤주선 충남대 건축학과 교수는 “포항만의 방식으로 동네를 바꿔야 한다”고 제안했다. 대전시의 ‘테미예술창작센터’ 사례를 소개한 윤 교수는 “빈집을 철거 대상이 아닌 공유와 휴식의 오픈스페이스로 전환해야 한다”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멋진 건물보다 살기 좋은 동네가 중요하다”고 덧붙였다. 

장민영 건축공간연구원 연구위원은 “지방 중소도시는 인구감소 때문에 도심이 구멍 나듯 비어가는 ‘스폰지화 도시’로 바뀌고 있다”고 진단했다. 이어 “대규모 재개발보다 생활권 단위의 소규모 정비·집수리·골목환경 개선사업이 실질적 대안”이라고 밝혔다. 

낡은 단독주택이나 빌라를 현대적으로 정비하는 중앙정부의 ‘뉴:빌리지 사업’과 빈집 관리 체계를 마련하고 소유자의 자발적 빈집 정비와 활용을 유도하는 ‘범정부 빈집관리계획’을 포항형 모델로 접목해야 한다고 주장한 장 연구위원은 “사업의 속도보다 주민이 체감하는 변화를 만드는 것이 중요하고, 포항형 소규모 정비사업과 집수리형 재생 모델을 적극 도입해야 한다”고 말했다. 

패널토론에서는 법·제도 개선과 주민참여, 지역건축가 육성 방안이 논의됐다. 한 시민은 “철거보다 리모델링, 관리보다 활용이 필요하다”며 “빈집을 문화·돌봄 공간으로 쓰면 좋겠다”는 의견을 냈다.

포항시는 이번 토론회를 계기로 도시형과 농촌형을 구분한 지역맞춤형 빈집관리체계를 마련할 계획이다. 2021년 빈집정비계획 고시 이후 2022년에는 농어촌 빈집정비계획을 확정했고, 올해는 20억 원 규모의 정비사업을 추진 중이다. 내년에는 활용 중심의 정비사업으로 확대해 주민이 체감할 수 있는 빈집 관리 모델을 구축할 방침이다.

포항시 건축디자인과 관계자는 “빈집 문제는 도시 미관이 아니라 생활안전과 지역 활력의 문제”라며 “포항은 지진 복구 경험을 가진 도시인 만큼 시민이 체감할 수 있는 ‘삶의 재생형 도시정책’으로 나아갈 것”이라고 밝혔다. 

/단정민기자 sweetjmini@kbmaeil.com

사회 기사리스트

더보기 이미지
스크랩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