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로가기 버튼

“대구취수원, ‘복류수’로 추진” 다변화 카드 꺼낸 李 대통령

김락현 기자
등록일 2025-10-26 16:01 게재일 2025-10-27 8면
스크랩버튼
‘이전 갈등 문제’ 해법으로 언급
상수원보호구역·공장 설립 등 관련
새규제 없어 지역갈등 해소되지만
비용이 걸림돌… 시 “환경부와 논의”

지난 24일 대구를 방문한 이재명 대통령이 대구 취수원 이전 문제와 관련해 처음으로 ‘복류수’, ‘강변여과수’를 언급해 눈길을 끌고 있다.

복류수와 강변여과수는 모두 하천 인근의 충적층을 이용해 물을 취수하는 간접 취수 방식이다. 다만, 취수 방식과 수질 특성에서 차이가 있다.

이날 이 대통령은 “ 대구 취수원이 구미 해평 이전으로 진행하다가 시간이 지나면서 잘 안되고, 안동댐 이전으로 변경됐다가 다시 해평이 논의된 상태로 알고 있다”면서 강변여과수, 복류수 등 일부 대안으로 거론되는 취수 방식을 언급했다.

이는 현재 취수원 이전과 관련한 지역 간의 갈등이 지속되면 취수원 이전이 아닌 다른 방안으로 ‘복류수’나 ‘강변여과수’를 추진할 수 있다는 뜻으로 해석된다.

현재 낙동강 하류인 부산과 동부 경남 지역은 복류수와 강변여과수 방식으로 취수하고 있다. 이들 지역에서 취수하는 전체 90만t 중 70만t은 강변여과수이고, 20만t은 합천댐 복류수인 것으로 알려졌다.

이 대통령의 공약 국정과제에도 ‘낙동강 상·하류 취수원 다변화’로 명시돼 있어 상류 지역인 대구에도 ‘복류수’나 ‘강변여과수’를 추진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복류수’나 ‘강변여과수’의 가장 큰 장점은 상수원 보호구역이나 공장 설립에 대한 새로운 규제가 없어 지역 간 갈등이 없다. 다만, 비용의 문제가 있다.

이러한 이유로 이 대통령도 “비용도 적게 들고, 빨리할 수 있고, 더 깨끗한 원수를 취할 수 있는 방법이라고 확신이 들면 공개적으로 언급할 텐데 아직 검토 중인 단계”라고 언급했다.

이에 대해 대구시 관계자는 “대구시는 그동안 이미 상수원 보호구역이랑 공장 설립 규제를 받고 있는 구미 해평이나 안동댐으로의 이전을 추진해 왔다. 관로 설치 외에는 새로운 비용이 들어가지 않기 때문에 일반 취수 방식만을 생각했다”며 “이번에 대통령이 복류수와 강변여과수를 언급하셨으니 앞으로 환경부와 이 부분에 대해서 논의를 시작할 것”이라고 했다.

그러면서 “복류수나 강변여과수 시설에 대한 비용은 아직 정확하게 파악하지는 못했으나, 구미 해평으로 이전보다는 좀 더 많고, 안동댐으로 이전하는 비용보다는 적을 것으로 예상한다”고 밝혔다.

/김락현기자 kimrh@kbmaeil.com

대구 기사리스트

더보기 이미지
스크랩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