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로가기 버튼

성리학 교육기관 서원으로 이색 여행 떠나보자

최병일 기자
등록일 2025-10-13 18:32 게재일 2025-10-14 16면
스크랩버튼
대구 도심이 한눈에 펼쳐지는 구암서원. 

서원은 조선시대 중기 지방 지식인들에 의해 건립된 사립 성리학 교육기관이다. 현재 전국에 648개 서원이 남아 있다. 그중 대구 도동서원을 비롯한 9개 서원은 2019년 7월 유네스코 세계유산에 등재된 곳이기도 하다. 

단순한 교육기관을 넘어서 조선시대 지식인들의 깊은 사유와 성찰이 빚어낸 정신적인 유산임을 인정받게 된 것이다. 한때는 낡고 고리타분하다고 여겼던 서원이 조금씩 변화하기 시작했다. 

선비체험, 예절 교육 등은 기본이고 서원과 첨단 기술이 결합해 멋진 문화예술 공연의 장이 되기도 한다. 확 달라진 서원을 찾아 이색 여행을 떠나보자.

 

대구 도동서원 등 9곳 유네스코 세계유산 등재
선비 체험·예절 교육·문화예술 공연의 장으로


1665년 건립된 달성 서씨 문중 서원 ‘구암서원’  
조선 사대부 집안 접객문화 체험 ‘연비 디미방’  
첨단기술에 역사 콘텐츠 연계 야간체험 등 인기


수령 400여 년 넘은 은행나무 반기는 ‘도동서원‘ 
옛책 만들기 등 선비 일상 체험 프로그램 운영

 

미디어파사드가 열리는 구암서원 야경. 

△ 구암서원에서 펼쳐지는 미디어 파사드 장관

 

대구 산격동에 있는 구암서원에 어둠이 깔렸다. 서원 앞쪽으로는 대구 도심의 야경이 화려하게 펼쳐졌다. 대구 북구 8경에 선정되기도 한 야경에 넋을 잃는 동안 구암서원을 밝히던 조명이 모두 꺼졌다. ‘옛 서당으로 가는 길’이라는 테마의 미디어 파사드가 시작됐다. 서원 정문으로 향하는 계단에서부터 시작해 기와를 얹은 전통 한옥 스타일의 건물 앞 계단과 외벽에 LED 영상이 등장했다.

미디어 파사드는 건축물 외면의 가장 중심을 가리키는 파사드(facade)와 미디어(media)의 합성어. 건물 외벽 등에 LED 조명을 설치해 미디어 기능을 구현하는 것을 말한다.

총 4막으로 구성된 미디어 파사드는 음악과 함께 화려한 꽃들이 꿈틀거리면서 피어나고, 성현의 말씀이 건물을 따라 마치 물고기처럼 헤엄쳐 지나간다. 서원 앞마당은 별빛 가득한 하늘이었다가 풀벌레 소리가 들릴 듯한 잔디밭으로 변한다. 10분 동안 미디어 파사드 공연이 이어지자 탄성이 이어졌다. 고리타분한 느낌의 서원이 아니라 새로운 문화공간으로 재탄생했음을 상징적으로 보여주는 공연이었다.

연비루를 비롯해 다양한 건물이 격조있게 들어선 구암서원. 

볼거리뿐만이 아니다. 구암서원 연비루(鳶飛樓)에서는 일반인을 대상으로 한 체험 프로그램이 가득하다. 그중 가장 인기 있는 것이 ‘연비(鳶飛) 디미방’ 체험이다. 어머니의 사랑과 애환이 담긴 약밥을 만들며 조선시대 사대부 집안의 접객 문화를 체험할 수 있다. 직접 만든 음식을 예쁜 보자기에 담으면서 포장 방법까지 알아가는 프로그램이다.

구암서원은 조선 초기 문신이었던 구계(龜溪) 서침의 덕을 기리기 위해 1665년(현종 6년) 건립됐다. 서원의 정문 격인 연비루를 비롯해 경례제, 누학재 등 다양한 건물이 격조 있게 들어서 있다. 달성 서씨의 문중 서원이었지만 최근엔 역사 콘텐츠를 연계한 야간체험형 관광지로 인기를 누리고 있다.

김굉필 선생의 학덕을 기리기 위해 건립된 도동서원. 

△ 김굉필 선생의 학덕기리는 도동서원

대구에서 또 한 곳 빠뜨릴 수 없는 곳이 달성군 구지면에 있는 도동서원(道東書院)이다. 도동서원은 조선 전기 성리학자였던 한훤당 김굉필(1454~1504)의 학덕을 기리기 위해 1605년 건립됐다. 도동(道東)은 공자의 도가 동쪽으로 왔다는 뜻이다. 성리학의 중심지라는 자부심이 듬뿍 담긴 이름이다.

낙동강이 내려다 보이는 강변 언덕 위에 자리 잡은 서원 입구에는 400여 년이 넘는 세월을 이겨낸 우람한 은행나무가 팔을 벌리듯 방문객을 맞는다. 은행나무는 공자의 강학을 상징하는 나무로 여겨져 왔으며, 서원에서는 흔히 볼 수 있다. 공자의 사상을 상기시키고 유생들의 학습 분위기를 고취시키기에 더할 나위 없이 좋은 나무인 셈이다.

도동서원의 상징인 은행나무. 

서원은 은행나무부터 사당까지 좁은 길과 오르막 계단으로 이어진다. 서원의 정문 역할을 하는 수월루(水月樓)는 ‘찬 강물을 비추는 밝은 달(寒水照月)’이라는 주자의 시구에서 따왔다고 한다. 도동서원의 유생들은 이곳에서 성인의 밝고 맑은 마음을 닮아가기 위해 수련했을 것이다.

수월루를 지나 중정당으로 가기 위해서는 환주문(喚主門)을 통과해야 한다. 수월루가 있기 전에는 이 환주문이 서원의 정문이었다고 한다. 환주문은 매우 인상적이다. 너비가 1m 남짓, 높이는 170㎝가 안 되는 문이다. 따라서 환주문을 통과하기 위해서는 대부분 사람이 몸을 반드시 숙여야만 한다. 

도동서원의 기단. 용과 거북형상물을 끼워 넣었다. 

‘내 마음의 주인을 부른다’는 환주문의 뜻을 생각해 보면 ‘주인’을 만나기 위해서는 환주문을 통과하듯 자신을 한껏 낮춰야 한다는 것이다. 절대 자만하지 말고 학문의 진정한 의미가 무엇인지를 문을 통과할 때마다 마음에 새기라는 뜻을 담았으리라.

사각형부터 십이각형까지 크고 작은 돌로 빈틈없이 단을 쌓은 학당의 매력적인 건축기술과 건축미도 눈여겨볼 만하다. 불필요한 장식 없이 오직 학문에만 매진하도록 간소하게 지어졌다. 도동서원도 선비들의 일상을 체험할 수 있는 서원 알기, 유복 체험, 탁본, 옛 책 만들기, 국궁 체험 등 다양한 프로그램을 운영 중이다.

도심속 한옥마을로 유명한 남평문씨본리세거지. 

△ 한훤당고택과 남평문씨본리세거지

도동서원에서 차로 20분 거리에 한훤당고택이 있다. 김굉필 사후 11대손 김정제가 터를 잡고 300년 넘게 대를 이어온 종택으로, 최근 몇 년 새 예쁜 한옥 카페로 이름났다. 품격 높은 고가에서 만든 전통차와 유기농 커피를 즐기며 특별한 시간을 누려보자. 한옥스테이도 운영한다. 금계포란형 명당이라니 하룻밤 묵어가도 좋겠다.

 

남평문씨본리세거지(대구민속문화재 3호)는 도심 속 한옥마을로 유명하다. 흙담이 둘러싸인 마을에 수봉정사, 광거당 등 멋스런 고가가 줄을 잇는다. 옛 골목에 능소화가 흐드러지게 필 때면 전국에서 사진작가들이 몰려든다.

대구의 자전거길 & 산책길

산악자전거길 코스가 잘 갖춰진 비슬산. 

△ 억새군락지 – 비슬산명품산악자전거길

비슬산명품산악자전거길은 낙동강과 대니산, 비슬산, 최정산, 상원산을 잇는 자전거길로 거친 업힐(오르막길)과 짜릿한 다운힐(내리막길)이 고루 섞여 있어 인기다. 산악자전거길은 코스마다 자연을 즐길 수 있는 곳이 많은 것도 장점이다. 가창면 상원임도~내상원임도~단산임도 주변에는 다양한 야생초가 자라고 있으며 도심에서 쉽게 볼 수 없는 복수초 군락지가 있다. 산 정상부에는 달성군이 조성한 초보자용 MTB 체험코스가 있다.

 MTB 체험코스는 1㎞에 불과하지만 드넓은 억새군락지와 울창한 낙엽송수림지를 통과한다. 체험코스 곳곳에는 ‘좌회전’과 ‘우회전’ 등이 적힌 안내판들이 있어 안전한 라이딩을 돕는다. 시원한 숲속의 데크길과 임도를 빠른 속도로 내달리면 체험코스는 금세 끝난다.

70년대 농촌풍경과 시대분위기를 느낄 수 있는 마비정벽화마을. 

△ 말과 관련된 전설이 있는 마비정누리길

대구 달성군 마비정누리길은 마비정벽화마을을 기점으로 삼필봉, 가창 정대리, 화원자연휴양림을 각각 종점으로 하는 3개의 걷기 코스가 있다. 말(馬)과 관련된 아련한 전설이 있는 마비정누리길의 중심에는 마비정벽화마을이 있다. 마을 전체가 1960~70년대의 농촌 풍경과 시대 분위기를 토담과 벽담을 활용해 벽화로 표현한 점이 정겹다. 

마을에는 국내 유일의 연리목+연리지 사랑나무가 있는데, 나무 앞에서 소원을 빌면 이뤄진다고 하니 재미삼아 들러보는 것도 좋을 듯하다. 1코스 1.5㎞, 2코스 5.5㎞, 3코스 1.4㎞로 1, 3코스는 30분 걸리며 2코스는 2시간30분 걸린다.

김광석의 노래가 들려오는 듯한 삼덕 봉산 문화길. 

△ 김광석의 향기 삼덕 봉산 문화길

대구 중구 골목투어는 대구의 원도심이라 불리는 중구의 근대 문화유산을 찾아가는 골목길이다. 동네와 동네를 실핏줄처럼 이어주는 골목에서는 잊혀진 대구 역사, 사람들의 살아가는 이야기가 도란도란 들려온다. 그중 4코스 삼덕 봉산 문화길은 역사와 예술이 숨 쉬는 길이다.

국채보상운동 기념공원, 김광석길과 방천시장, 봉산문화거리, 건들바위 등을 두루 둘러보자. 4.95㎞이며 2시간50분 걸린다.

/최병일기자 skycbi@kbmaeil.com

라이프 기사리스트

더보기 이미지
스크랩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