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6년부터 지역 특화형 의료지원 체계 구축 보건소 의사 채용 확대·원격 협진·진료소 역량 강화 등
경북도가 공중보건의사 감소로 인한 의료 취약지의 진료 공백을 해소하기 위해 ‘보건의료 서비스 강화 종합대책’을 추진한다.
9일 경북도에 따르면 공중보건의사는 의료 취약지에서 1차 진료를 담당하는 핵심 인력이지만, 최근 여학생 비율 증가와 36개월 복무기간 부담 등으로 지원자가 줄며 인력 감소가 심화되고 있다.
실제로 경북 지역의 의과 공중보건의사 수는 2022년 287명에서 2025년 153명으로 47%나 줄어들 것으로 전망되며, 이로 인한 보건소 및 보건지소의 진료 공백도 커지고 있다.
이에 경북도는 지역 주민의 기본 의료 접근성을 보장하고, 지속 가능한 지역 보건의료 체계를 구축하기 위해 2026년부터 의료 취약지를 중심으로 한 맞춤형 의료지원 체계를 가동할 계획이다. 특히 2024년부터 시행 중인 ‘보건소 진료 의사 인건비 지원사업’을 확대해 1차 진료 기반을 강화해 올해 5개 시·군에서 12명의 의사를 채용했으며, 2026년에는 채용 규모를 20명으로 늘려 현장 진료역량을 보강할 예정이다.
또 ‘보건진료소 진료역량 강화 시범사업’을 통해 진료직 공무원과 간호사를 대상으로 6개월간의 이론 및 임상실습 교육을 지원하고, 이를 통해 건강증진과 돌봄 기능을 통합한 모델을 도입한다. 지역 특성에 맞는 보건의료 체계를 구축함으로써 공중보건의사 부족에 따른 공백을 최소화할 방침이다.
정보통신기술(ICT)을 활용한 ‘원격 협진 사업’도 확대해 보건지소 및 보건진료소와 의료기관간 비대면 실시간 협진을 통해 진단과 치료에 필요한 의료정보를 신속히 공유하고 협력할 수 있도록 한다. 주요 대상은 노령층 만성질환자, 경증 치매 환자, 재활치료가 필요한 주민 등이다.
이철우 지사는 “취약지 주민에게도 기본 의료가 보장될 수 있도록 보건소 의사 채용 확대, 보건진료소 진료·건강 증진·돌봄 통합모델 정착, 만성질환 중심 원격 협진 확대를 축으로 의료안전망을 촘촘히 하면서 경북형 기본 의료 체계를 완성하겠다”고 밝혔다.
/피현진기자 phj@kbmaeil.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