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로가기 버튼

국내 1위 부동의 가을송이 생산지 영덕, 올해는 예상대로 한숨만 가득…임업인들 두 번 울린 산불

박윤식 기자
등록일 2025-10-09 12:23 게재일 2025-10-10 5면
스크랩버튼
버섯 자랄 수 있는 핵심 조건인 ‘균근’까지 태워… 사실상 생산 불가능
회복 수년의 시간 필요 … 피해 없던 지역은 안정적 생산·소득 이어져

 추석을 전후 찾아간 영덕군 지품면 삼화리는 긴 침묵만이 흘렀다. 이 마을은 국내에서는 가장 양질의 가을송이가 생산됐던, 그래서 부러움을 한몸에 받았던 곳이다. 실제, 동네 뒷산인 국사봉을 중심으로 주변 산에는 지난해까지만해도 매년 가을이면 황금이 쏟아졌었다.  그러나 올해는 동민들의 한숨만이 가득했다. 지난 3월 영덕을 휩쓴 대형 산불은 이 마을 산들을 쑥대밭으로 만들었고, 가을이 깊어 가는 지금도 상처는 여전히 그대로 남은 채 침묵 하고 있었다.  산불 날때 이미 이런 결과를 예상했던 것이긴 하지만 주민들은 현실이 닥치자 받아들이기 어려워 보였다.  동민들은 한때 송이 향으로 가득했던 숲만 그저 망연자실하게 바라보고 있었다. 

 30년 간 송이를 캐온 이 마을 김 모씨(68)는 “땅이 죽어버렸어요. 송이가 나올 데가 없어요.” 라며 허탈해 했다. 그의 목소리에는 수십 년 쌓인 삶의 흔적과 상실감이 묻어 나왔다. 

 김씨는 지품면 일대 산림을 덮친 산불이 버섯이 자랄 수 있는 핵심 조건인 균근(菌根)까지 태워 송이 생산을 사실상 불가능하게 만들어 버린 부분을 못내 아쉬워했다. 한해쯤이야 재해로 농사를 망칠 수 있는 것이지만 수십여년 간 또 어쩌면 영원히 영속되는 일이라면 예삿일이 아니라고 답답한 가슴을 쳤다.   

 이 마을 주민들에게 송이는 단순한 임산물이 아니다. 그동안 한 해 농사 전체를 책임지는 소득원 역할을 해왔다.  삼화1,2 리 산주 및 주민들은 “이젠 우리 마을에서 송이 구경하는 것도 어려울 것 같다”며 눈길을 떼지 못했다. 

산불로 인한 영덕군내 올 가을송이 피해는 지품 뿐만 아니라 남정·병곡면 일대에 걸쳐 발생했다. 예상되는 송이 임산물 공식 피해액만 70여억 원에 달한다. 주민들은 송이를 예년처럼 채취했더라면 인근 식당도 잘 돌아가고 했을텐데, 지금은 그렇지가 않으니 체감 피해는 그 몇 배라고 입을 모았다.

그간 영덕송이는 통상 추석을 전후 수확한다.  

이때가 되면 송이생지는 돈세기에 바빴다. 송이를 수매하는 영덕읍 등에서도 잠깐 동안이지만 활기를 띠곤 했다. 하지만 올해는 그런 특수도 사라졌다. 산불 피해를 입지 않은 영덕군 다른 산지에서 따 온 송이 정도만이 거래되니 시장형성이라고도 보기 어렵게 된 상태다.  

다만, 예년 같으면 수확이 줄 경우 송이값은 천정부지로 뛰었으나 올해는 그런 분위기는 아니다. 추석 연휴 당시 1kg당 100만 원을 넘보던 송이버섯 가격은 최근 40만 원대로 안정세를 보이고 있다. 영덕군산림조합 관계자는 “지금 경기가 내리막길이다보니 송이 선호도가 주춤, 가격이 오르지 않고 있다”고 분석했다. 또 영덕과 달리 문경과 울진 봉화 등에서는 예상보다 많은 송이가 수확된 것도 가격 형성에 영향을 미쳤다고 했다.  

영덕 자연산 송이. /영덕군 제공

산림조합중앙회 송이 공판장 집계에 따르면 9일 기준, 영덕송이 공판량은 3,042.7kg, 거래 금액은 약 5억4,705만 원으로 집계됐다.  지난해(2024년) 영덕 송이 공판량은 15,931.1kg, 약 33억2천만 원이었고, 2023년에는 32,394.18kg이 수확돼 53억4,998만 원의 실적을 기록했었다. 하지만 이는 일선 산림조합에서 거래된 것이어서 실제와는 큰 차이가 있다. 송이는 과거 산림조합 위판을 의무화시켰지만 지금은 사적으로도 유통이 가능, 산림조합 거래량보다 훨씬 더 많은 송이가 개인 사업자 등을 통해 시중에 매매되고 있다. 

영덕군과 영덕군산림조합 측은 “산림청 등 정부 차원에서 산불 피해 지역에 대한 임산물 생산 복구에 보다 더 관심을 가져 줄 것을 요청하고 있다”면서 잿더미 속에서 다시 송이가 자랄수 나 있을지, 그렇게 된다하더라도 그 시간은 얼마나 걸릴지 등을 잘 몰라 그저 발만 동동 굴리고 있다며 안타까워 했다. 

한편 9일 현재 경북도내 가을송이 수확량은 문경이 3500kg를 기록, 한때 국내 부동의 1위였던 영덕군을 제쳤다. 문경은 문경새재 일원 산림에서 양질의 송이가 수확된 것으로 나타났다.  

/박윤식기자 newsyd@kbmaeil.com

동부권 기사리스트

더보기 이미지
스크랩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