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로가기 버튼

트럼프, 中·대형트럭에 25% 관세···11월 1일 발효

김진홍 기자
등록일 2025-10-08 11:15 게재일 2025-10-09 6면
스크랩버튼
“동맹국도 예외 없다”···글로벌 상용차 업계 긴장
Second alt text
트럼프 행정부가 11월 1일부터 미국으로 수입되는 중·대혁 트럭에 25%관세를 부과하기로 결정했다. /클립아트 코리아 제공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11월 1일부터 미국에 수입되는 중·대형 트럭에 25%의 고율 관세를 부과하기로 결정했다. 보호무역 기조를 강화하며 자국 상용차 산업을 보호하겠다는 의지로, 일본과 유럽연합(EU) 등 주요 동맹국까지 영향을 받을 전망이다.

트럼프 대통령은 6일(현지시간) “불공정한 외국산 트럭 수입으로부터 미국 제조업과 일자리를 지키겠다”며 중·대형 트럭에 대한 관세 부과 방침을 공식화했다. 앞서 그는 지난달 “국가 안보 차원에서 외국산 대형 트럭에 새로운 관세를 부과하겠다”고 예고한 바 있다.

이번 조치는 트럭 제조업계 보호를 명분으로 내세웠지만, 사실상 미국 내 제조업 부흥을 위한 또 하나의 ‘트럼프식 관세폭탄’으로 해석된다. 기존의 자동차·전기차 관세 강화에 이어 상용차까지 규제 범위를 넓히는 셈이다.

현재 미국은 일본·EU 등과의 무역협정에서 소형차에 15%의 관세를 적용하기로 합의했지만, 중·대형 차량에 대한 세율은 명확히 규정돼 있지 않았다. 트럼프 행정부가 이번에 일방적으로 25%를 부과하면서 통상 갈등이 재점화될 가능성이 커졌다.

대상에는 택배용 트럭, 쓰레기 수거차, 공공사업용 트럭, 화물 운송 트레일러, 버스(셔틀·스쿨 포함) 등 주요 상용차 대부분이 포함된다.
미 상공회의소는 즉각 반대 입장을 밝혔다. 상공회의소는 “트럭 수입국 상위에는 멕시코, 캐나다, 일본, 독일, 핀란드 등이 포함돼 있으며, 이들은 모두 미국의 동맹 혹은 긴밀한 경제 파트너”라며 “국가안보를 이유로 한 관세 부과는 설득력이 없다”고 지적했다.

업계는 이번 조치로 인한 원가 상승과 공급망 혼란을 우려하고 있다. 특히 일본·독일 등 글로벌 완성차 업체들은 북미 시장 내 상용차 사업 전략을 전면 재검토해야 할 것으로 보인다.
전문가들은 트럼프 행정부가 대선을 앞두고 제조업 일자리와 ‘미국산 우선’을 내세운 보호무역을 가속화함에 따라, 향후 자동차·기계·철강 등 주요 산업 전반에 걸쳐 연쇄적인 충격은 회피하기 어려울 것으로 분석하고 있다.

/김진홍경제에디터 kjh25@kbmaeil.com

경제 기사리스트

더보기 이미지
스크랩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