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럽과 아시아 잇는 튀르키예 1500년 전 고구려와 돌궐부터 한국전쟁과 2002 월드컵까지 우정으로 이어진 ‘형제의 나라’
서아시아, 북아프리카, 남동유럽에 걸쳐 광대한 영역을 지배했던 오스만 제국은 한때 유럽을 위협하는 강력한 패권 국가였다. 2200년을 이어온 로마제국을 무너뜨렸던 그 위엄의 흔적을 따라 떠난 여정, 그 길 위에서 한국과의 의외의 우정, 그리고 인간의 욕망이 남긴 찬란한 흔적을 마주한다.
튀르키예는 흑해와 지중해가 만나는 천혜의 지정학적 요충지로 아시아 대륙 97% 유럽 대륙 3%로 이슬람 문화권에 속한다.
유럽과 아시아의 문화가 교차하는 독특한 문명적 색채를 지닌 그들은 흥미롭게도 한국을 ‘피를 나눈 형제의 나라’라 부른다. 그들이 유독 한국에 더 친근감을 보이는 것에는 오랜 역사 1500년 전으로 거슬러 올라간다.
고구려와 돌궐(오늘날 튀르키예의 기원 민족)은 동맹관계를 맺고 당나라와 맞서 싸운다. 연개소문 장군이 돌궐 공주와 혼인하면서 양국의 유대는 더욱 깊어진다. 그리고 한국전쟁에 참전, 1000여 명의 전사자를 내며 ‘피를 나눈 형제의 나라’라는 명칭을 현실로 만든다.
이후 2002년 한일 월드컵에서 이 관계는 또 한 번 빛을 발한다. 당시 조별리그 튀르키예 vs 브라질 전에서 한국인 주심의 오심으로 튀르키예 선수가 퇴장 당하자 그들은 격분한다.
그들의 분노는 현지에 거주하는 한인들을 공포에 떨게 할 정도였다. 3,4위전에서 또 다시 만난 한국 vs 튀르키예. 그들은 오심에 대한 앙갚음을 제대로 하리라 벼르며 경기장을 들어서다 무려 5만개의 튀르키예 국기를 흔드는 한국 응원단과 마주한다.
경기에 앞서 그들의 국가가 울릴 때 태극기보다 더 큰 월성기(月星旗)까지 펼쳐지니 그들은 감동을 넘어 충격을 받는다.
‘터키는 1000명의 용사를 잃었지만 5000만의 한국인을 얻었다’며 눈시울을 붉힌다. 그날 흔들렸던 대형 튀르키예 국기는 지금, 앙카라 국립박물관에 소중하게 보관 전시되어 있다.
실크로드의 종착지 이스탄불 ‘그랜드 바자르’의 전통시장에 들어서면 값비싼 양탄자와 유리공예품, 향신료 등 5000여 개가 넘는 미로 같은 상점들에서 화려한 상업문화를 실감한다.
아디야만 넴루트산 정상에 자리한 고대 콤마게네 왕국의 돌자갈 무덤 위를 붉게 채우던 아름다운 일몰은 말로 표현하기 어려운 경외심을 안긴다. 자연이 만든 예술작품인 카파도피아의 버섯바위와 파묵칼레의 석회온천 등 히에라폴리스의 고대유적은 잦은 지진으로 많이 훼손되었음에도 그 흔적만으로 찬란한 역사의 숨결을 느끼게 한다.
로마제국시대 만들어진 1800년 된 다리를 여전히 온전히 사용하고, 537년에 건설되었다는 성소피아 성당의 광대함은 짧은 글로 표현하기가 힘들다.
다만 제국이 쇠퇴기에 접어들며 새로 지어진 돌마바흐체 궁전은, 400여 년간 오스만 제국의 정궁이었던 톱카스 궁전에서는 느낄 수 없는 웅장함과 화려함의 사치가 극에 달해 제국의 마지막을 암시한다.
황제의 접견실 천정 돔에 드리워진 750개의 전등이 달린 4.5톤의 샹들리에가 눈을 압도한다. 사치와 권력의 상징이던 궁전의 호화로움이 한 제국의 영화가 어떻게 쇠락으로 향했는지를 역설적으로 말해준다.
한국인을 반겨주던 튀르키예 사람들. 아름다운 보스포루스 해협을 물들이는 붉은 노을을 보며 ‘역사는 인간이 만든 것이 아니라 인간이 지나간 자리 위에 쌓인 시간의 흔적’이라는 말을 떠올린다.
제국의 영광과 몰락, 그리고 형제의 나라로 이어진 우정이 한데 어우러진 그곳에서 인간의 욕망과 시간의 무게를 동시에 느낀다. 훈훈함이 더했던, 오래 기억될 여행이었다.
/박귀상 시민기자
이 기사는 지역신문발전기금을 지원받았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