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로가기 버튼

중국 전기차, 유럽 현지 생산 체제 구축 본격화

김진홍 기자
등록일 2025-10-05 08:27 게재일 2025-10-06 6면
스크랩버튼
관세 장벽 넘기 위한 전략적 전환
Second alt text
중국의 비야디(BYD) 등 전기차 제조업체들이 유럽 현지생산체제 구축에 나섰다. 사진은 중국 비야디의 전기차 라인업. /테크인사이츠 제공

중국 전기차 제조사들이 유럽연합(EU)의 반보조금 관세 부과 결정 이후 유럽 내 현지 생산에 속도를 내고 있다. 수출 중심 전략에서 벗어나 ‘현지화’로의 전략적 전환이 본격화된 것이다.

시장조사업체 테크인사이츠(TechInsights)가 최근 발표한 자료에 따르면, 샤오펑(XPeng)과 비야디(BYD)는 최근 유럽 현지 생산 체제 구축에 나섰다. 지난해 말 EU가 중국산 전기차에 최대 38.1%의 반보조금 관세를 부과하기로 한 데 따른 조치다. 샤오펑은 20.7%, 비야디는 17.0%의 추가 관세가 적용돼 기존 10%의 수입세와 합쳐 가격 경쟁력이 크게 떨어졌다. 이에 두 기업은 관세 부담을 피하면서도 시장 접근성을 높이기 위한 ‘현지 생산’ 전략으로 방향을 틀었다.

샤오펑은 대규모 자체 공장 대신 오스트리아의 위탁생산 전문기업 마그나 슈타이어(Magna Steyr)와 손잡았다. 오스트리아 그라츠(Graz)에서 G6와 G9 SUV 모델을 반조립(SKD) 방식으로 생산 중이며, 향후 세단·소형 SUV·하이브리드 모델 등으로 확대할 계획이다. 이 같은 전략은 초기 투자 부담을 줄이면서도 유럽 규제에 맞춘 생산 체계를 빠르게 확보하고, 수요 변화에 기민하게 대응할 수 있는 ‘경량 진출 모델’로 평가된다.

반면 비야디는 유럽 시장을 장기 성장 거점으로 보고 직접 생산 인프라를 구축 중이다. 올해 헝가리 공장이 가동에 들어갔고, 내년에는 튀르키예에 조립 라인을 신설할 예정이다. 비야디는 오는 2028년까지 유럽 판매 차량 전량을 현지에서 생산한다는 목표를 세웠다. 또 향후 6개월 내 3~4종의 플러그인 하이브리드(PHEV) 신차를, 2027년에는 고급 전기차 모델을 선보이며 소비자층 다변화를 꾀한다.

업계는 이번 현지 생산 확대가 단순한 ‘관세 회피’가 아닌, 유럽 시장 내 지속 가능한 성장 전략으로 보고 있다. 현지 생산을 통해 규제 대응력 강화, 소비자 신뢰도 제고, 물류비 절감, 공급망 안정성 확보, 고용 창출 등 다층적 효과를 노릴 수 있기 때문이다. 장기적으로는 브랜드 정착과 시장 기반 확대에도 유리하다.

유럽 소비자 입장에서도 ‘중국 브랜드지만 유럽 생산 차량’이라는 인식 변화가 기대된다. 품질·신뢰성 향상과 서비스 접근성, 부품 공급 속도 개선 등 긍정적 효과가 예상된다. 특히 가격 경쟁력과 품질을 동시에 갖춘 모델이 늘어나면서 소비자 선택 폭도 넓어질 전망이다.

샤오펑과 비야디는 각각 파트너십과 자체 공장이라는 상반된 방식으로 유럽 시장에 접근하고 있다. 유연성과 속도를 중시하는 샤오펑의 전략과, 전면적 현지화를 추진하는 비야디의 접근 중 어느 쪽이 시장 점유율을 선점할지가 향후 유럽 전기차 시장의 구도를 좌우할 전망이다.

한편, 테크인사이츠(https://library.techinsights.com/)는 글로벌 반도체·자동차·모바일 산업에 특화된 전문 플랫폼으로, 주요 기업에 심층 분석과 전략 인사이트를 제공하고 있다.

/김진홍경제에디터 kjh25@kbmaeil.com

경제 기사리스트

더보기 이미지
스크랩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