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로가기 버튼

대만, “반도체 생산 美·臺 50:50 분담” 제안 거부

김진홍 기자
등록일 2025-10-01 17:14 게재일 2025-10-02 6면
스크랩버튼
TSMC 생산 거점, 여전히 대만 중심 유지··· 미·대만 공급망 협의 불씨 남아

대만이 미국이 제안한 ‘반도체 생산 50대50 분담’ 방안에 대해 명확히 선을 그었다. 미국의 공급망 리쇼어링(자국 회귀) 압박이 강화되는 가운데, 대만은 자국 내 핵심 제조역량을 유지하겠다는 입장을 분명히 한 것이다.

1일(현지시간) 로이터통신에 따르면 대만의 대미(對美) 통상협상을 총괄하는 정리쥔(鄭麗君) 행정원 부원장(부총리)은 “반도체 생산의 절반을 미국에서 수행하는 안은 협상에서 논의된 적이 없으며, 대만은 이에 동의하지 않았다”고 밝혔다.

앞서 지나 러이몬도(Raimondo) 미 상무장관은 지난주 미국 뉴스전문채널 ‘뉴스네이션(NewsNation)’ 인터뷰에서 “미국은 대만과 협력해 반도체 생산 비율을 미국과 대만 각각 50%씩 맞추는 방안을 추진할 것”이라고 언급한 바 있다. 현재 세계 반도체 파운드리(위탁생산)의 상당 부분은 대만에서 생산되고 있다.

정 부원장은 미국 방문을 마치고 귀국한 뒤 가진 기자회견에서 “협상팀은 반도체 생산을 50대50으로 나누는 안에 어떠한 형태로도 합의하거나 약속한 적이 없다”며 “이번 회담에서 해당 사안은 아예 의제에 오르지 않았다”고 강조했다. 그는 또 “대만은 자국의 전략산업 경쟁력을 스스로 지켜나갈 것”이라며 미국의 균형생산 제안에 선을 그었다.

세계 최대 반도체 위탁생산업체인 TSMC(타이완 반도체 제조)는 미국 애리조나주에 대규모 반도체 공장을 건설 중이다. 총 투자액은 1650억달러(약 231조5610억원)에 달하지만, 생산의 대부분은 여전히 대만 본토에 남을 것으로 보인다.
TSMC는 미국 정부의 보조금과 세제 혜택을 활용해 첨단 공정을 미국 내 일부 시설로 이전하되, 핵심 기술은 대만에 남겨 ‘기술 주권’을 유지한다는 전략이다.

이번 발언은 미국이 자국 내 반도체 공급망을 확대하기 위해 동맹국 기업들에 투자 확대를 요구하는 흐름 속에서 나왔다. 특히 미 의회가 반도체지원법(CHIPS Act)을 통해 대규모 인센티브를 제공하는 상황에서도, 대만이 생산 주도권을 유지하겠다는 입장을 공개적으로 표명한 것은 이례적이다.

대만 정부는 그간 “세계 반도체 공급망의 균형과 안정은 대만 내 생산거점을 중심으로 유지돼야 한다”며, 지정학적 리스크에도 불구하고 핵심 공정의 ‘해외 이전’을 최소화해왔다.

전문가들은 “미국이 자국 내 생산 비중을 확대하려는 것은 공급망 안보 차원에서 불가피하지만, 대만으로선 기술 독립성을 지키는 것이 국가 전략과 직결된다”며 “미·대만 협상은 앞으로도 기술이전 범위와 투자 속도를 둘러싼 줄다리기가 이어질 것”이라고 전망했다.

/김진홍경제에디터 kjh25@kbmaeil.com

경제 기사리스트

더보기 이미지
스크랩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