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7년 1만2500㎥급 전용선 투입··· 광양항 LNG 허브 조성 시동
포스코인터내셔널(사장 이계인)이 포스코플로우, 여수광양항만공사와 함께 LNG 벙커링 사업을 본격화한다.
3사는 29일 ‘여수광양항 LNG 벙커링 협력체계 구축’을 위한 업무협약(MOU)을 체결하고, LNG 추진선 연료 공급 인프라 구축에 나서기로 했다.
이번 협약은 글로벌 해운업계의 탈탄소 흐름에 대응해 여수광양항권 내 선박연료용 LNG 공급 체계를 조기에 마련하는 것이 핵심이다. 3사는 광양 LNG터미널을 중심으로 선박 도입부터 운영까지 전 주기에 걸친 지원체계를 구축한다.
각 기관은 전문 분야에 맞춰 역할을 분담한다.
포스코인터내셔널은 2026년 완공 예정인 광양 LNG 제2터미널의 저장탱크와 벙커링 전용 부두를 활용해 LNG 조달과 공급 서비스를 총괄한다. 여수광양항만공사는 항만 운영기관으로서 안전성 검토와 정책 제도 지원을 맡는다. 포스코플로우는 2027년 인도 예정인 1만2500㎥급 벙커링 전용선의 건조 및 운항을 담당한다.
국제해사기구(IMO)의 환경 규제 강화로 LNG 추진선 수요는 빠르게 늘고 있다. 2022년 말 354척이던 LNG 추진선은 2027년까지 778척으로 늘어날 전망이다. 이에 따라 LNG 벙커링 시장도 급성장 중이다. LNG 벙커링은 △선박 간 공급(Ship to Ship) △항만 설비를 통한 공급(Port to Ship) △육상 탱크·트럭 공급(Truck/Terminal to Ship) 방식으로 이뤄진다.
여수광양항은 연간 6만5000척 입항, 2억1300만t 물동량을 처리하는 국내 핵심 항만으로, 아시아·태평양 항로 중심에 위치해 LNG 벙커링 거점으로서의 잠재력이 높다는 평가다. 일본 주요 해운사를 비롯한 글로벌 선사들의 벙커링 수요도 확인됐다.
포스코인터내셔널은 2026년 3분기까지 제2터미널 전용 부두를 완공하고, 제1·2터미널을 합쳐 총 133만㎘ 규모의 국내 최대 LNG 저장 인프라를 확보할 계획이다. 2027년 5월 전용선을 투입해 동남권 항만에서 본격적인 벙커링 서비스를 시작하고, 글로벌 선사와 장기공급계약을 통해 안정적 수요 기반을 확보한다는 방침이다.
향후 LNG 벙커링을 비롯해 개발·생산, 운송·저장, 공급·판매, 탱크 임대, 선박 시운전 등 다양한 연계 사업으로 확장도 가능할 것으로 보고 있다.
홍상표 여수광양항만공사 운영부사장은 “탄소중립 기조 속 LNG 수요 증가에 대응하는 이번 협약은 공공·민간 협력 모델로서 의미가 크다”며 “세 기관의 긴밀한 공조로 LNG 허브항만 조성에 박차를 가하겠다”고 밝혔다.
민창기 포스코인터내셔널 에너지사업본부장은 “탐사부터 공급까지 밸류체인을 갖춘 광양 LNG터미널을 기반으로 안정적 벙커링 체계를 구축할 것”이라고 말했다.
/김진홍경제에디터 kjh25@kbmaeil.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