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26일 발생한 국가정보자원관리원 본원 리튬이온 배터리 화재 이후 우려했던 ‘월요 민원 대란’은 피했지만, 대구와 포항 등 지역 공공기관의 행정 업무 차질로 지역민과 공무원 모두 불편을 겪었다.
29일 화장시설인 대구 명복공원은 예약 시스템인 ‘e하늘장사정보’가 전산 마비로 멈추면서 시민 불편이 눈덩이처럼 커졌다. 평소 가능했던 인터넷 접수 대신에 유가족들이 직접 전화나 방문을 통해 예약하고 있다. 대기 시간이 길어지면서 접수창구 주변은 사람들로 붐빌 수밖에 없었다.
칠곡경대병원, 계명대 동산병원, 대가대병원 등 지역 상급종합병원 장례식장에도 비상이 걸렸다. 장례 일정을 맞추기 위해 급히 화장 예약을 해야 하는데, 온라인 시스템이 먹통이 되자 병원 직원들이 전화를 붙들고 명복공원 측과 수십 차례 통화를 시도했다. 통화 연결조차 쉽지 않아 팩스를 보내거나 찾아가는 등 혼란이 이어졌다.
명복공원 관계자는 “지금 문의 전화가 폭주해 대기 신호가 이어지고 있다”며 “보건복지부에서 장사시설 운영 지침이 내려와 그 지침에 따라 움직이고 있으나, 실시간으로 상황이 바뀌고 있어 현장도 혼란스럽다”고 호소했다.
조달청의 국가 종합 전자조달시스템인 ‘나라장터’는 접속 차단이 장기화할 것으로 예상된다. 조달청은 이날 나라장터를 재해복구시스템(DR)으로 전환해 이날 오전 9시부터 주요 서비스는 재개했다. 다만, 7만 여 공공기관과 60만 여 조달 업체가 나라장터를 통해 거래하는 만큼, 조달청은 추석 전 개찰 건을 모두 연기하고 비상 대응 체제를 운영하고 있다.
포항시 재정관리과 관계자는 “개찰을 앞둔 공사와 용역 입찰이 모두 자동으로 무기한으로 연기됐고, 새로운 입찰 공고는 올리지도 못한다”라면서 “시간이 급한 긴급공사가 다수인 점을 고려하면 하루빨리 시스템이 정상화돼야 한다”라고 전했다.
대구조달청 관계자는 “사용자 불편을 최소화하기 위해 재해복구시스템을 통해 나라장터 주요 서비스를 재개했다”면서 “명절을 앞두고 업체들 대금 지급에 차질이 없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이날 오전 정부24 복구와 무인민원발급기 정상화도 이뤄졌지만, 행정에 대한 신뢰가 쌓이지 못한 탓에 주민들이 행정복지센터를 직접 찾아 주민등록 등·초본 발급과 사망신고 등을 처리하는 모습도 보였다.
포항시 남구 한 우체국의 사정은 더 나빴다. 필수 우편 서비스는 정상화됐지만, 불편함은 여전했다.
착불·안심 소포와 신선식품 소포 접수 중단, 우체국 쇼핑과 선납등기 라벨 판매 중지, 외부기관 연계 접수 서비스 제한, 일부 지역 배송 지연 가능 등이다. 신선식품 접수 불가 소식을 들은 시민은 발길을 돌려야 했다.
결제 방식도 불편했다. 우정사업본부 관계자는 “우체국 택배 상자를 현장에서 구매할 경우 카드 결제가 되지 않아 현금으로만 결제해야 한다”며 “인터넷 결제 기록이 안정적으로 남지 않아 불가피한 조치이며 이 상황은 전국이 모두 같다”고 말했다.
/장은희·황인무·단정민·김보규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