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77년부터 문학서적·미술품 등 수집 한국방언박물관 설립이 평생 소원 방언의 가치를 전 세계에 알리고파
방언학연구소 소장 신승원 박사를 만나기 위해 최근 그의 연구소를 찾았다. 대구 수성구의 한 아파트를 사무실로 사용하고 있었는데, 현관문을 열자마자 놀라운 광경이 펼쳐졌다. 방 소장이 평생 수집한 책과 자료들이 입구 현관부터 집안 전체를 가득 채우고 있었던 것이다. 그는 본가에도 이와 비슷한 양의 자료를 보유하고 있다고 전했다.
방언 관련 서적이 주를 이루지만, 문학 서적, 군지·읍지·고지도, 한시 및 한문 서적, 미술품·서예 작품·골동품 등도 소장하고 있었다. 방 소장은 1977년부터 48년간 방언을 연구해왔으며, 앞으로의 꿈은 “한국 방언박물관을 설립해 전 세계에 한국 방언의 가치를 알리는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대학에서 방언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음에도 일반인에게 방언을 전파할 방법이 부족하다고 느껴 박물관을 구상하게 되었다고 덧붙였다.
“사람은 나면 서울로, 말은 제주로 보낸다”는 속담처럼, 방언 연구는 그 지역 현장에서 이루어져야 한다고 강조했다. 신라 시대 언어를 연구하기 위해 경상도 방언을 먼저 분석하는 것이 중요하다는 설명이다. 당시 중심 언어는 경주 지역을 기반으로 했다는 것이다.
그는 통시방언학의 권위자인 오종갑 교수에게 박사 학위를 받으며 큰 영향을 받았다. 통시방언학은 시간의 흐름에 따른 언어 변화, 즉 역사적 발전을 연구하는 학문이다. 박물관 설립을 위해 국립중앙박물관의 학예사 자격증 취득을 위한 실무 연수도 이수했으며, 현재까지 수집한 방언 어휘는 13만 5389단어에 달한다고 한다. 모든 단어를 직접 수집하고 체계적으로 정리한 결과다.
방 소장은 “사투리는 조상의 얼이 담긴 살아있는 무형문화유산“이라며 2016년 사투리가 무형문화유산 목록에 등재된 것을 계기로 향후 인간문화재로 지정될 가능성도 열어뒀다. ”판소리나 민속놀이처럼 사투리도 문화유산으로서의 가치를 인정받을 날이 올 것“이라고 기대감을 드러냈다. 이어 ”K팝, K영화, K푸드가 세계를 이끄는 지금, 한국 방언 역시 글로벌 문화의 한 축이 될 수 있다“고 전망했다.
/권정태 시민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