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피치 시대’가 우리 앞에 강력하게 나타나고 있다. 실력만 있으면 되겠지, 필기시험만 잘 치면 되겠지 하는 시대 의식은 본인 스스로 패배자로 인식되는 시대다.
본인의 능력을 나타내고 남에게 인식시키는 방법으로서 서로 서로 자격이 비슷한 요즈음 시대에 스피치가 단기간에 상대방에게 설득력과 재질을 보여주고 인정받는 시대가 바로 지금이다.
스피치도 이제 다양성을 갖추고 때와 장소에 맞게 해야만 상대방에게 좋은 인식을 줄 수 있다.
등산을 하려면 등산복을 입어야 하는 것과 같다. 기능성 등산복이 더 편리함을 주고 비록 값이 비싸지만 등산에 제일 효과가 좋고 편안하다는 것을 알 수 있게 된다. 또한 야유회를 갈 때 캐주얼을 입어야 주위 사람에게 편안함과 안정감을 줄 수 있고, 대화도 부드럽게 할 수 있는 분위기를 만들어 갈 수 있다.
직장 근무 시 같은 동료와 함께 회사 유니폼을 입고 근무함으로써 동지감과 의무감을 함께 가질 수 있는 것이다.
예를 들어 턱시도와 예쁜 드레스를 입고하는 결혼식에 트레이닝복을 입고 갈 수 없는 것처럼 스피치의 원리도 같다고 보아야 한다. 웃어른과의 대화에서는 짧고 쉽게 예의바르게 표현하는 하는 것이 요점이다. 공식적인 자리에서는 당당하고 명쾌하게 발표해야 자신의 신분과 직책에 맞는 인상을 줄 수 있다. 친구들과의 대화에서 유머와 정이 넘치는 대화를 한다면 친근감과 신뢰감을 줄 수 있고, 인간적인 폭도 넓혀 자기 자신에 대한 호감을 상대방에게 극대화시킬 수 있게 된다.
이제 이렇게 스피치는 때와 장소에 따라 세분화, 전문화, 인격화되어 가는 시대다. 자기 자신의 인격과 목표에 맞는 세분화 전문화된 스피치를 갖추는 것이 중요하다. 그런 재질과 능력이 있는 사람들이 인정을 받고 앞서 나가는 시대에 우리는 살고 있다.
스피치는 나와 나의 스피치, 나와 타인의 스피치, 나와 소수의 스피치, 나와 다수의 스피치로 구분된다.
나와 나의 스피치는 독백과 같은 것을 예로 들 수 있다.
나와 타인의 스피치는 대화, 상담 등 1:1의 대화법이며, 나와 소수의 스피치는 면접, 프리젠테이션, 회의 등이고, 나와 다수의 스피치는 연설, 강연 등 많은 사람들 앞에서의 스피치를 의미한다.
이렇듯 옷도 그 상황에 맞게 사전에 준비를 하여 갖추어 입듯이, 스피치 또한 옷과 같이 사전에 준비를 해야 함은 물론이고, 옷을 갖추어 입는 것보다 더욱더 많은 변화가 필요할 수도 있다.
이렇듯 우리는 본인 스스로 스피치에 대한 작은 철학을 세워 철저한 전문성으로 남과 대화할 수 있는 능동적이며 긍정적인 사고 방식을 가져야 한다.
스피치에서 이기는 자 다른 곳에서도 이길 수 있을 가능성이 가장 많다는 마음이 필요하다.
/이병욱 시민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