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전 국가정보자원관리원 전산실에서 발생한 화재로 정부 전산망 647개 시스템이 중단되면서 우정·교통·경제 등 주요 서비스에 차질이 빚어지고 있다. 리튬이온배터리 특성상 진화 작업이 장기화될 전망이다.
지난 26일 오후 8시 20분께 대전 유성구 화암동 국가정보자원관리원 5층 전산실에서 배터리 교체 작업 중 리튬이온 배터리 폭발로 불이 나 9시간 50분 만인 27일 오전 6시 30분께 큰 불길이 잡혔다. 그러나 리튬이온배터리 열폭주로 내부 온도가 한때 160도까지 치솟는 등 진화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전산실에 있던 리튬이온배터리 팩 384개는 전소됐다. 소방당국은 송풍기를 이용해 배연 작업을 진행하며 배터리팩을 물에 담가 반출하고 있으나, 그을음과 연기 탓에 현장 진입이 쉽지 않은 상황이다. 이 과정에서 작업을 하던 협력업체 직원 1명이 얼굴과 팔에 1도 화상을 입었다.
화재로 항온·항습기가 고장 나면서 서버 전원이 모두 꺼져 정부 전산망 운영이 중단됐다. 국정자원 관계자는 “아직 열기가 빠지지 않아 복구작업에 착수하지 못하는 상황”이라며 “복구 완료 시점은 소방 안전 점검과 서버 재가동 이후에야 알 수 있다”고 밝혔다.
이번 화재로 인터넷우체국을 통한 우편 서비스, 우체국 예금·보험 등 금융서비스가 전면 중단됐다. 우편물은 오프라인 체계로 배송이 진행되고 있으나, 다음 주까지 복구가 지연되면 접수·배송 시간이 늘어날 것으로 보인다. 특히 추석 연휴(10월 14일)를 앞두고 일평균 약 160만 건의 우편 물량이 접수될 것으로 예상돼 장기화 시 물류 대란 우려도 제기된다.
경제부처 전산망도 차질을 빚고 있다. 기획재정부와 산하 기관 홈페이지, 통계청 홈페이지와 국가통계포털 접속이 불가능해 경제통계 발표 일정에도 영향이 불가피하다. 다만 국세청 ‘홈택스’, 관세청 ‘유니패스’ 등은 별도 서버망을 이용해 정상 가동 중이다.
국토교통부는 교통 분야 전산망도 장애를 겪고 있다고 밝혔다. 버스·철도 할인 승차권 발급 시 국가유공자·장애인 등 대상자 인증이 이뤄지지 않고 있으며, 공항에서는 정부 모바일 신분증 확인이 불가능하다. 국토부는 실물 신분증 사본이나 민간 앱 등을 활용한 대체 확인 방안을 한시적으로 운영 중이다.
택시 운수종사자 관리시스템, 자동차365 누리집 등 일부 교통·자동차 행정 서비스도 중단됐다. 다만 자동차 검사는 27일 오전부터 정상화됐다. 국토부는 “민간 택배·화물 수송에는 차질이 없으며, 정부는 관계기관과 협력해 조속히 시스템을 복구하고 국민 불편을 최소화하겠다”고 밝혔다.
/고세리기자 ksr1@kbmaeil.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