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월 1일부터 대형트럭 25%, 브랜드 의약품 100% 관세부과
트럼프 대통령의 품목별 관세부과가 다시 시작됐다.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10월 1일부터 수입 대형 트럭과 브랜드 의약품에 각각 25%, 100%의 고율 관세를 부과한다고 잇따라 발표했다. 미국 제조업을 보호하고 국가 안보를 강화한다는 명분을 내세웠지만 글로벌 교역 질서에 파장이 불가피할 전망이다.
트럼프 대통령은 25일(현지시간) 자신의 SNS ‘트루스소셜(Truth Social)’에 올린 글에서 “우리의 위대한 대형 트럭 제조업체를 불공정한 외부 경쟁으로부터 지키기 위해, 10월 1일부터 해외에서 제조된 모든 대형 트럭에 25% 관세를 부과한다”고 밝혔다. 그는 이번 조치로 피터빌트, 켄워스, 프레이트라이너 등 미국 대표 업체들이 직접적인 수혜를 입을 것이라고 강너했다. 이어 “트럭 업계가 재무적으로 건전하고 강인해야 하는 이유는 많지만, 무엇보다 국가 안보 차원에서 필수적”이라고 주장했다.
같은 날 트럼프 대통령은 해외에서 생산된 브랜드 의약품에 대해서도 100%의 추가 관세를 부과하겠다고 선언했다. 다만 미국 내 공장 건설에 나설 경우 관세를 면제하겠다는 조건을 내걸었다. 그는 “미국 내 투자와 고용 창출이 우선”이라며 해외 제약사를 압박했다.
이번 조치는 ‘미국 우선주의’를 내세운 트럼프 행정부의 보호무역 기조를 다시금 확인시켜준다. 대형 트럭과 의약품은 각각 미국 제조업과 국민 생활·보건과 직결된 산업으로, 정부가 국가 안보 개념까지 끌어와 강력한 관세 정책을 추진하고 있는 셈이다.
다만 이로인한 미국내 업계와 글로벌 공급시장에 미치는 영향은 적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 수입 트럭과 의약품에 크게 의존해온 미국내 운송업계·의료계의 비용 부담이 커지고, 글로벌 공급망에도 불확실성이 증대될 수 있다는 우려가 제기된다. 특히 제약업계는 미국 시장 비중이 절대적인 만큼, 현지 생산 설비 투자 압박이 본격화될 가능성이 크다.
/김진홍경제에디터 kjh25@kbmaeil.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