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I 기반 역노화 연구 플랫폼… 청년 일자리와 지역 혁신 산업 창출 기대
경북도는 25일 K-U시티 프로젝트의 일환으로 청송 황금사과연구단지에서 ‘AI 역노화연구원’ 현판식을 열고 공식 출범을 알렸다.
이날 현판식에는 이상수 경북도 지방시대정책국장, 윤경희 청송군수, 성한기 대구가톨릭대 총장을 비롯해 도의원, 군의원, 지역 기업 및 단체 관계자 등 100여 명이 참석해 연구원의 비전과 성과물을 공유했다.
특히, 청송 사과를 활용한 첫 연구 성과물로 노화 억제 성분을 강화한 사과칩과 주스, 사과 유래 성분을 적용한 화장품 2종을 공개하고, 지역 농산물이 기능성 소재로 발전할 수 있는 가능성을 보여 줬다.
AI 역노화연구원은 현재 청송 황금사과연구단지 내에서 임시 운영 중이며, 형광현미경, LC-MS/MS, AI 서버 등 70여 종의 첨단 장비를 활용해 농산물 성분 분석, 부산물 기반 신소재 개발, AI 기반 생명정보 연구 등을 수행하고 있다.
경북도는 2027년까지 총 120억 원을 투입해 청송읍 덕리에 연구자 정주 여건과 기업 입주 공간을 갖춘 복합 연구단지를 조성할 계획이다. 이를 통해 청송 농산물을 세계적인 바이오 소재로 발전시키고, 지역 산업 활성화 및 청년 일자리 창출을 도모한다는 방침이다.
또한, 청송을 중심으로 영양, 안동, 의성, 울진, 영덕, 봉화, 울릉 등 인근 시·군과 연계한 ‘역노화 연구 벨트’ 구상을 포함한 연구·산업단지 조성 용역을 추진하고 있으며, 오미자, 마가목, 산나물 등 경북 특화 농산물도 연구 대상으로 확대할 예정이다.
국제 협력도 본격화된다. 오는 11월 24~25일 청송에서는 ‘2025 국제 역노화 서밋’이 개최될 예정이며, 막스플랑크 연구소, 싱가포르 국립대, 홍콩의대 등 세계적 석학들이 참여해 최신 연구 성과와 산업화 전략을 공유할 계획이다.
윤경희 청송군수는 “청송의 청정 자원과 연구 역량을 결합해 지역 주민이 체감할 수 있는 성과를 만들고, 청송을 세계가 주목하는 역노화 연구 허브로 발전시키겠다”고 밝혔다.
이상수 경북도 지방시대정책국장은 “AI 역노화연구원 출범은 청송을 역노화 연구와 산업화의 거점으로 키우려는 경북의 중요한 전환점”이라며 “연구·산업단지 조성 용역을 통해 청송을 초광역 클러스터로 발전시켜 나가겠다”고 말했다.
/피현진기자 phj@kbmaeil.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