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항상의 ‘추석 기업자금사정’ 매출감소·제조원가 상승 영향 정책자금 확대·금리 인하 시급
추석 명절을 앞두고 포항지역 기업들의 자금사정이 지난해보다 뚜렷하게 악화된 것으로 나타났다. 매출감소와 제조원가 상승이 주요 원인으로 꼽혔으며, 기업들은 정책자금 확대와 대출금리 인하를 정부와 지자체의 최우선 과제로 요구했다.
포항상공회의소(회장 나주영)가 지난 8일부터 12일까지 지역 기업 88개사를 대상으로 실시한 ‘2025년 추석 명절 기업자금사정 및 정책과제 조사’에 따르면, 응답 기업의 52.3%는 상반기와 비슷한 수준이라고 답했지만, “상반기보다 어렵다”는 응답이 44.3%에 달해 체감 경영환경이 한층 나빠진 것으로 조사됐다. 상반기에 비해 나아졌다는 응답은 3.4%에 불과했다.
지난해 추석과 비교해도 부정적 인식이 크게 늘었다. “작년보다 어렵다”는 응답은 48.9%로, 1년 전 30% 대비 18.9%포인트 증가했다. 반면 “비슷하다”는 응답은 54.4%에서 40.9%로 줄었고, “나아졌다”는 응답은 15.6%에서 10.2%로 감소했다. 자금사정 악화의 원인으로는 매출 감소가 가장 많았고, 이어 제조원가 상승, 자금회전 부진, 금융권 대출 애로 등이 뒤를 이었다.
향후 전망도 어두운 것으로 나타났다. 응답 기업의 47.1%가 “6개월 후 자금사정이 나빠질 것”이라고 내다봤으며, 나아질 것이라는 응답은 6.9%에 그쳤다. 경기 회복에 대한 불확실성이 커지면서 “비슷할 것”이라고 답한 기업도 46%였다.
금융 애로요인으로는 정책금리 인상(29.5%)이 가장 많이 꼽혔고, 담보 위주의 대출 관행(28.4%)과 환율 불안(21.6%)이 뒤를 이었다. 자금 수요의 대부분은 단기 유동성 확보에 집중됐다. 대출 자금의 72.9%가 운전자금으로 사용됐고, 설비투자(15.3%)와 부채상환(2.4%) 등은 상대적으로 적었다.
정부의 금융정책에 대한 지역 기업의 평가는 냉담했다. “보통”이라는 응답이 63.1%로 다수였지만, “다소 불만족”(33.5%)과 “매우 불만족”(1.2%)을 합치면 불만족 비율이 3분의 1을 넘었다. 만족한다는 응답은 2.4%에 불과했다. 금융기관 이용 관련해서는 높은 대출금리가 가장 큰 애로로 꼽혔고, 담보요구 수준, 대출규모, 상환 기간 등이 뒤를 이었다.
기업들이 정책당국에 요청한 최우선 과제는 ‘정책자금 지원 확대’(37.2%)와 ‘대출금리 인하’(36.5%)였다. 이어 신용대출 확대(14.2%), 신용보증 지원 강화(9.4%) 순으로 나타났다.
포항상의 관계자는 “추석을 앞두고 지역 기업들이 자금난에 직면해 있다”며 “정책자금 공급과 금리 부담 완화가 절실한 상황”이라고 강조했다.
/김진홍경제에디터 kjh25@kbmaeil.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