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경제성장률 전망치는 6월 전망치를 유지
경제협력개발기구(OECD)가 23일 2025년 세계 경제성장률을 3.2%로 전망했다. 지난 6월 발표한 예측치(2.9%)보다 0.3%포인트 상향 조정한 수치다. 미국의 인공지능(AI) 투자 확대와 중국의 적극적 재정 지출이 성장률 상향의 배경으로 꼽았다.
다만 OECD는 트럼프 행정부의 고율 관세 정책이 여전히 주요 불확실성 요인이라고 지적했다. 8월 말 기준 미국의 실효 관세율은 19.5%로, 1933년 이후 최고 수준이다. 관세 부과 전 수출입 기업들이 ‘밀어내기’ 수요를 보였지만, 본격적인 부정적 영향은 아직 반영되지 않았다는 분석이다. OECD는 세계 성장률이 2024년 3.3%에서 2025년 3.2%로 둔화하고, 2026년에는 2.9%까지 떨어질 것으로 내다봤다.
국가·지역별로는 미국의 2025년 성장률 전망이 1.8%로, 6월보다 0.2%포인트 높아졌다. 그러나 2024년(2.8%)보다는 낮다. 활발한 하이테크 투자가 이어지고 있지만, 고관세와 이민 감소가 경제활동을 제약하면서 효과를 상쇄하고 있다는 진단이다. 실업률 상승 등 경기 둔화 조짐도 이미 나타나고 있다.
유로존은 1.2%로 0.2%포인트 올려 잡았다. 기준금리가 2023~2024년의 4%에서 현재 2% 수준까지 낮아지며 무역 충격이 일부 완화된 것으로 평가됐다. 일본은 기업 실적 호조와 투자 증가세를 반영해 0.4%포인트 상향 조정된 1.1% 성장률을 예상했다.
반면 한국경제의 경우에는 최근 회복세가 지속될 것으로 예상하면서 올해 두번 성장률 전망치를 내린 지난 6월 1.0% 성장률을 그대로 유지했다. 또 내년 성장률 전망치도 상향조정된 다른 국가들과는 달리 지난 6월과 동일한 2.2%를 유지했다.
신흥국도 예상보다 견조한 흐름을 보였다. 중국은 4.9%로 0.2%포인트 올랐지만, 2024년(5.0%)과 거의 비슷한 수준이다. OECD는 2026년에는 관세 인상에 따른 수출 감소와 재정 지출 축소로 4.4%까지 둔화될 것으로 전망했다.
알바로 페레이라 OECD 수석 이코노미스트는 니혼게이자이신문과의 인터뷰에서 “방위비와 고령화 대응 지출 증가가 국가 재정 부담을 키우고 있다”며 “각국 국채 금리가 오르는 것은 투자자들이 재정 리스크 확대를 우려하는 신호”라고 말했다.
/김진홍경제에디터 kjh25@kbmaeil.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