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동은 바이오, 포항은 미래소재, 구미는 전자로 지방 소멸 위기 극복
경북도가 산업 특화 전략을 통해 새로운 도약을 준비하고 있다.
24일 경북도에 따르면 안동·포항·구미 세 도시가 각각 바이오, 철강, 전자 산업을 중심으로 지역 경제의 중심축을 형성하며 대한민국 산업 지도의 핵심 거점으로 부상하고 있다. 이들 도시는 과거의 산업 기반을 바탕으로 미래 성장 동력을 확보하고 있으며, 산업 다변화를 통해 지방 소멸 위기와 청년 유출 문제에 대응하고 있다.
안동은 전통문화의 도시라는 이미지에서 벗어나 바이오 산업의 신흥 거점으로 빠르게 변모하고 있다. SK바이오사이언스는 코로나19 백신 생산을 계기로 글로벌 시장에 이름을 알렸다.
경북바이오산업단지에는 백신·의약품·천연물 기반 기업들이 속속 입주하고 있다. 특히 이 산업단지는 백신·의약품 등 생산 거점을 넘어 연구개발과 기술 상용화를 동시에 추진하는 복합 클러스터로 성장 중이다. 한의약과 첨단 바이오 기술이 융합되면서 안동은 전통과 미래가 공존하는 산업 도시로 거듭나고 있다.
오랫동안 철강 산업의 상징이었던 포항은 포스코(POSCO)라는 세계적 철강 생산 기업을 앞세워 경제를 이끌어왔다.
포스코는 지역 주민들의 삶과 도시의 정체성에 깊은 영향을 미쳤지만 최근에는 철강 산업이 주춤하면서 철강산업 중심의 구조에서 벗어나 이차전지, 수소, 탄소소재 등 미래소재 산업으로의 전환을 꾀하고 있다.
포스코퓨처엠은 이차전지 핵심 소재 생산을 확대하며 글로벌 공급망의 중심으로 떠오르고 있다. 포항산업과학연구원(RIST)과 포항테크노파크 등 연구기관은 소재 산업의 R&D 허브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 포항공대(POSTECH)는 산학협력의 중심축으로서 지역 산업과의 연결고리를 강화하고 있으며, 기술 혁신의 촉매제로 작용하고 있다.
구미는 대한민국 전자 산업의 심장으로 불린다. 1970년대부터 조성된 국가산업단지에는 삼성전자, LG이노텍, SK실트론 등 대기업들이 입주해 있으며, 현재 3000여 개 기업이 활동 중이다. 연간 수출액은 35조 원을 넘고 있으며, 이는 경북 전체 수출의 절반 이상을 차지한다.
최근에는 LG BCM의 양극재 공장과 SK실트론의 반도체 웨이퍼 생산이 주목받고 있다. 구미시는 8대 신산업 육성을 통해 청년 유입과 산업 고도화를 동시에 추진하고 있으며, 이를 통해 첨단 산업 도시로의 도약을 꾀하고 있다. 특히 반도체, 2차전지, 디지털 헬스케어 등 미래 산업 분야에서의 투자 유치와 인재 확보가 활발하게 이뤄지고 있다.
경북도 관계자는 “산업은 도시의 얼굴을 바꾸고, 사람의 삶을 바꾼다. 안동의 바이오, 포항의 미래소재, 구미의 첨단 전자 산업은 생산과 수출의 문제가 아니라 지역이 살아남기 위한 생존 전략이자 다음 세대를 위한 투자”라고 강조했다.
/피현진기자 phj@kbmaeil.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