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로가기 버튼

8월 포항의 철강 수출 20.9% 감소, 경기 감속 가속화

김진홍 기자
등록일 2025-09-22 11:02 게재일 2025-09-23 6면
스크랩버튼
철강 수출 두 자릿수 감소···광산물·에너지 수입도 급감
Second alt text
포항 지역경제의 중추를 맡고 있는 포항철강산업단지의 일부 전경. /경북매일DB

최근 포항의 수출입 동향이 지역 철강산업의 경기 불황을 고스란히 나타내고 있다.
최근 포항세관이 발표한 2025년 8월 수출입 동향에 따르면 수출은 전년 동월보다 20.9% 줄어든 7억 200만달러, 수입은 42.1% 감소한 4억 4000만달러에 그쳤다. 무역수지는 2억 6200만달러 흑자를 기록했지만, 이는 교역 자체의 위축에 따른 ‘불황형 흑자’ 성격이 짙다.

△철강 수출 20% 급감, 글로벌 수요 부진 영향

포항지역 수출의 핵심인 철강금속제품은 4억 7900만달러로 전년 같은 달에 비해 20.7% 줄었다. 세계 경기 둔화와 미국발 트럼프 관세 장벽, 중국의 저가 수출 물량 공세가 맞물리면서 포항산 철강제품의 가격경쟁력이 흔들린 결과다. 철강은 포항 전체 수출의 60% 이상을 차지하는 주력 품목이어서 두 자릿수 감소는 지역경제 전반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다.

특히 유럽(-33.1%), 미국(-25.6%) 등 주요 선진국으로의 수출이 줄어든 점은 세계적인 무역보호주의의 영향과 더불어 글로벌 경기 부진도 일부 반영된 모습이다. 자동차·조선 등 철강 수요산업의 회복세가 더딘데다 보호무역 기조 강화 흐름이 여전히 꺾이지 않는 점도 수출 감소의 원인으로 지목된다.

△에너지·원자재 수입 급감, 가격 하락과 소비 위축

수입은 광산물과 철강제품을 중심으로 큰 폭 감소했다. 광산물 수입은 2억 5700만달러로 같은 기간 대비 41.3% 줄었고, 철강제품 수입도 1억 6700만달러로 26.4% 감소했다. 이는 국제 원자재 가격 하락과 더불어 국내 제조업 생산 둔화로 인한 원료 수요 축소가 겹친 결과다.

특히 호주(–30.5%), 중국(–61.5%), 일본(–69.4%) 등 주요 교역국으로부터의 수입이 크게 줄었다. 이는 철광석·석탄·LNG 등 에너지 원자재 수입이 줄었음을 의미하며, 글로벌 에너지 가격 안정세와 국내 산업 수요 위축을 동시에 나타내고 있음을 시사한다.

△불황형 흑자 구조 고착화 우려

1~8월 누적 무역수지는 26억 6200만달러 흑자를 기록했지만, 이는 수출 증가가 아닌 수입 급감에 따른 결과다. 특히 에너지·원자재 수입 감소가 주된 요인으로, 지역 산업의 성장동력이 둔화되고 있음을 보여준다. 수입이 줄면 단기적으로는 무역수지가 개선되지만, 장기적으로는 생산·투자 축소로 이어져 경기 위축을 심화시킬 수 있다.

포항의 한 경제전문가는 “포항은 철강 기반한 산업도시여서 수출입 동향에 비추어 볼때 지금 포항의 고용, 투자, 물류 전반이 어렵다는 이야기다”며, 이에 덧붙여 “생산과 투자에 대한 선행지표인 수입의 지속 감소는 결국 앞으로 포항 지역내 생산과 투자활동이 계속 감속할 것이라는 신호다. 포항 경기가 무너지면 대한민국 제조업 기반까지 무너진다는 사실을 명심하고 즉각적인 ‘K-스틸법’의 제정과 시행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김진홍경제에디터 kjh25@kbmaeil.com

경제 기사리스트

더보기 이미지
스크랩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