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스코본사에서 포스코를 비롯한 포항의 철강기업 대표들과 간담회 개최
정부가 본격적으로 철강위기 극복을 위한 행보에 나섰다.
산업통상자원부 김정관 장관이 19일 산업위기선제대응지역으로 지정된 포항을 방문해 포스코 포항제철소 2고로와 수소환원제철 개발센터를 점검하고 철강업계 대표들과 간담회를 가졌다. 이번 방문은 반복되는 안전사고와 글로벌 공급과잉 속에서 철강산업의 미래 경쟁력 확보와 포항 지역경제 회복을 위한 정부 의지를 현장에서 확인하는 자리였다.
김 장관은 포항제철소 2고로에서 AI 기반 스마트 제철공정과 근로자 안전관리 체계를 둘러보고, 수소환원제철 개발센터에서 2026년부터 2030년까지 8,100억 원 규모로 추진될 ‘한국형 수소환원제철’ 실증사업 진행 상황을 확인했다. 그는 “포항은 우리 철강산업의 심장이자 국가 제조업 경쟁력의 상징”이라며 “저탄소·고부가 철강 전환과 근로자 안전 확보를 적극 뒷받침하겠다”고 강조했다.
이날 간담회는 포항에 뿌리를 둔 철강기업들을 중심으로 포스코 본사에서 열렸다. 정부 측에서는 김 징관과 함께 산업공급망정책관과다자통상법무관 등이 참석했으며 업계에서는 포스코(이희근 사장)를 비롯해 현대제철(서강현 사장), 동국제강(최삼영 사장), 세아제강(홍만기 부사장), 넥스틸(최철균 상무), TCC스틸(김영학 사장) 등 주요 기업 대표들과 한국철강협회 이경호 상근부회장이 함께 참석해 지역 산업 현장의 애로와 대응 방향을 논의했다.
김 장관은 “대미 관세 면제 협상에서 성과를 얻기 어려웠지만 미국과의 추가 협의를 이어가고, 관세 후속 지원대책을 통해 업계 부담을 덜겠다”며 “우회덤핑 등 불공정 수입재에도 단호히 대응하겠다”고 밝혔다.
특히 그는 철강기업·정책금융기관·민간 금융권이 함께 참여하는 약 4000억 원 규모의 ‘철강 수출공급망 강화 보증상품’을 신설하겠다고 발표했다. 이는 수출 중심의 포항 철강업계가 직면한 금융 애로 해소와 공급망 불안 대응에 실질적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간담회에서 한국철강협회와 기업들은 글로벌 공급과잉 속에서의 생존 전략과 안전관리 강화 필요성을 공유하며, “포항이 철강산업 위기 극복과 저탄소 전환의 거점 도시가 될 수 있도록 정부가 지속적으로 지원해달라”고 건의했다.
산업부는 올 1월 출범한 ‘철강산업 경쟁력 강화 TF’를 통해 논의한 내용을 바탕으로, 공급과잉 대응·수입재 방어·저탄소·고부가 전환·안전관리 강화 등을 포함한 ‘철강산업 고도화 방안’을 발표할 계획이다. 김 장관은 “포항이 다시 한 번 대한민국 철강산업의 미래를 이끄는 도시로 자리매김할 수 있도록 정책적 역량을 집중하겠다”고 밝혔다.
/김진홍경제에디터 kjh25@kbmaeil.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