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로가기 버튼

포스코그룹, 청년 일자리 1만5000개 창출···“채용시장 활력 불어넣는다”

김진홍 기자
등록일 2025-09-18 14:18 게재일 2025-09-19 6면
스크랩버튼
5년간 연간 3000명 채용···올해 계획보다 400명 확대
Second alt text
포스코그룹이 향후 5년간 1만5000명의 청년을 신규 고용한다. 사진은 포스코 본사 전경. /포스코미디어센터 제공

포스코그룹이 향후 5년간 1만5000명의 청년을 신규 채용하기로 했다. 
올해만 원래 계획했던 2600명보다 400명 많은 3000명을 뽑는다. 글로벌 경기 둔화와 철강·소재 산업 불확실성이 커지는 상황에서도 청년 고용을 늘리겠다는 결단이다.

△경영환경 악화에도 채용 확대

철강업계는 원자재 가격 변동, 글로벌 공급과잉, 친환경 전환 부담 등 복합적인 어려움에 직면해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포스코그룹이 채용 규모를 늘린 것은 단순한 인력 수급 차원을 넘어 사회적 책임을 강조한 행보로 평가된다. 청년 실업률이 여전히 두 자릿수에 근접한 가운데 대기업의 직접 고용 확대는 고용시장 안정에 긍정적인 신호로 작용한다.

△그룹 공채 확대···공정 경쟁 기회 넓혀

포스코와 포스코인터내셔널 등 주요 계열사가 중심이던 공채 제도는 내년부터 참여 회사를 늘려 청년들에게 더 폭넓은 기회를 제공한다. 이는 그룹 내 다양한 사업 분야—철강·에너지·소재·서비스—로 취업 기회를 확장하는 효과를 가져올 전망이다. 특히 2026년 이후에도 AI·안전·R&D 분야에서 채용을 지속해 디지털·친환경 산업 전환에 대응하는 인재 수혈을 강화한다.

△교육·인턴십 통한 ‘맞춤형 지원’ 병행

포스코그룹은 채용 인력수를 확대하는데 머물지 않고, 청년들의 경쟁력 강화를 위한 프로그램도 강화한다. 2019년부터 시작한 ‘청년 AI/Big Data 아카데미’는 지금까지 1400여 명을 배출했고 이 가운데 800여 명이 실제 취업에 성공했다. 포스코그룹은 앞으로 인턴십 규모도 확대해 교육과 실무 경험을 연계하는 선순환 구조를 만들겠다는 계획이다.

△지역사회와 산업 전반에 파급효과

포스코그룹의 채용 확대는 지역 경제와 산업 생태계에도 영향을 줄 것으로 보인다. 포항·광양 등 주력 생산거점뿐 아니라 그룹 계열사들이 분포한 전국 각지에서 청년 고용이 늘어나면 관련 지역의 인구 동향과 소비 진작에도 긍정적으로 작용할 전망이다. 또 청년층의 안정적인 일자리 확보는 침체된 내수 경기의 소비 기반 확충 효과도 기대할 수 있다.

△“청년에게 희망, 사회에 활력”

포스코그룹 관계자는 “청년이 희망을 가질 수 있는 일자리를 안정적으로 제공하는 것은 기업의 중요한 사회적 책무”라며 “공정한 채용과 미래 인재 양성을 통해 국가와 지역사회 발전에 기여하겠다”고 말했다.

포항의 한 경제전문가는 포스코그룹의 이번 결정을 두고 “고용 불확실성이 큰 시기에 청년 채용을 늘린 것은 상징성이 크다”며 “철강과 소재 분야의 전통 제조업을 넘어 AI·데이터 분야 등 신성장 영역에서 청년 인재가 진입할 수 있는 기회를 그룹차원에서 전국적인 영역을 시야에 두고 문호를 개방했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고 평가했다.

/김진홍경제에디터 kjh25@kbmaeil.com

경제 기사리스트

더보기 이미지
스크랩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