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로가기 버튼

2022년 경북 시군별 GRDP 추계결과···구미·포항·경주 ‘3강’, 칠곡·울진은 두 자릿수 성장

김진홍 기자
등록일 2025-09-18 06:06 게재일 2025-09-19 6면
스크랩버튼
2022년 경북도 지역내총생산은 121조원···1인당 GRDP는 전국 평균 상회
Second alt text

2022년 기준 경북도내 시군별 지역내총생산(GRDP) 추계 결과가 나왔다.

최근 경상북도가 발표한 ‘경상북도 시군단위 지역내총생산 2022년 기준 추계 결과(2020년 기준년)’에 따르면 도 전체 지역총생산은 121조원으로 전년 대비 2조7000억원(2.3%) 증가했다. 경북도의 실질 경제성장률은 0.6%를 기록하며 완만한 회복세를 보였다. 산업별로는 전기·가스·증기업, 건설업, 숙박·음식점업이 성장을 견인한 반면, 농림어업과 제조업은 감소세를 보였다.

△구미·포항·경주, 경북 경제 중심축

시군별 명목 GRDP로 보면 구미가 30조원으로 가장 컸고, 포항(24조원), 경주(13조원), 경산(9조원)이 뒤를 이었다. 구미는 여전히 제조업 중심의 산업구조를 유지하는 가운데 2022년 제조업이 4.2% 감소하며 경제성장률은 -1.7%로 역성장했다. 다만 건설업(67.2%)과 운수업(28.9%)에서는 성장세가 두드러진 것으로 나타났다.
포항은 건설업(19.2%)과 공공행정(7.2%)이 아파트건설 붐 등의 영향으로 성장했으나, 주력 산업인 철강을 중심으로 하는 제조업(-11.3%)이 뒷걸음치며 전체 성장률이 -1.6%의 역성장을 기록한 것으로 집계됐다.
경주는 3.9% 성장률을 기록하며 상대적으로 안정적인 흐름을 보였다. 제조업(6.1%)과 공공행정(9.2%)이 경제성장을 견인했지만 농림어업(-10.8%)과 문화·기타서비스업(-3.4%)이 역성장하면서 전체 성장률의 약진을 억제한 모습이다.

△두 자릿수 성장률의 칠곡·울진이 ‘약진’

경제성장률에서는 칠곡(11.0%), 울진(10.0%), 김천(8.0%) 등이 두자릿수의 성장률을 나타내 돋보였다. 칠곡은 자동차 부품 제조와 일차전지·축전지 제조 등 제조업(17.7%)이 크게 늘며 도내 시군 가운데 최고 성장률을 기록했다. 울진은 전기·가스업(22.8%)과 사업시설관리업(52.6%)이 활기를 띠며 두 자릿수 성장률을 달성했다. 김천은 제조업(10.7%)과 건설업(36.5%)이 동반 성장하면서 8%의 성장률을 보였다.
반면 울릉(-3.3%), 군위(-2.3%), 상주(-2.2%) 등은 건설업과 제조업 부진으로 역성장했다. 특히 울릉은 건설업(-30.0%), 부동산업(-44.3%)이 급감하면서 역성장의 원인으로 작용했다.

△산업별 부침···제조업 부진·서비스업 확장 희비 교차

경북도의 전체 산업 구조를 보면, 광업·제조업 비중은 구미(42.0%), 포항(17.7%), 경주(10.2%) 순으로 높았다. 반면 울릉(81.3%), 안동(79.3%) 등은 서비스업 비중이 압도적이었다.
산업별 성장률에서는 전기·가스·증기업이 10.1%, 건설업도 7.1%를 기록했다. 서비스업 역시 3.5% 성장세를 보였다. 하지만 농림어업(-2.8%)과 제조업(-2.3%)은 부진이 뚜렷하게 나타났다. 예천은 건설업(-36.3%) 위축으로 전체 경제성장률이 -0.2%에 그쳤고, 고령은 농림어업(-26.5%) 부진의 영향으로 -1.9%의 역성장을 기록했다.
도소매업 확대가 견인한 성주(10.7%)와 사업서비스업의 성장세가 컸던 울진(11.6%)은 서비스업 호조로 높은 성장률을 보였다.

△1인당 GRDP, 전국 평균 상회

2022년 기준 경북도의 1인당 평균 GRDP는 4633만원으로 전년 대비 128만원 증가했다. 이는 같은 시점의 전국 평균(4503만원)을 상회하는 수치다. 지역별로는 구미(7237만원), 성주(6249만원), 고령(6051만원)이 상위권을 차지했다. 반면 농림어업 비중이 큰 일부 군 지역은 도 평균을 밑돌았다.
경북은 제조업 중심의 시군과 서비스업 비중이 높은 시군이 공존하며 지역별 격차가 확연하게 나타났다. 특히 구미·포항·경주 등 산업 도시와 도내 군 지역 간의 성장 동력이 엇갈리면서, 산업 구조 다변화와 균형발전의 필요성이 다시 한번 부각되고 있다.

/김진홍경제에디터 kjh25@kbmaeil.com

경제 기사리스트

더보기 이미지
스크랩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