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로가기 버튼

경북도청 신도시 10년, 도시가 사람을 부르지 못했다

피현진 기자
등록일 2025-09-16 12:56 게재일 2025-09-17 3면
스크랩버튼
인구 소폭 늘었지만 텅 빈 거리···도청 신도시의 명암
경북도청이 이전한 지 10년이 지났지만 주택용지와 상업용지 등 빈 땅들이 아직도 개발 되기를 기다리며 곧곧에 산재해 있다./네이버 위성 지도 

경북도청이 안동·예천으로 이전한 지 10년이 지났다. ‘행정 중심 복합도시’라는 비전을 품고 출발한 도청 신도시는 지금 도시의 외형은 갖춰졌지만 인구 유입과 상권 활성화, 교육 인프라 등 삶의 기반은 여전히 불안정하다는 평가가 나온다.

2025년 3월 기준 도청 신도시의 주민등록 인구는 2만2787명으로 집계됐다. 도청 이전 이후 누적 전입신고 인구는 3만3000명을 넘지만 실제 거주 인구는 그보다 훨씬 적은 수준이다. 연간 인구 증가폭도 해마다 줄어들고 있으며, 2024년에는 고작 196명 증가에 그쳤다.

특히 외부 유입보다는 안동·예천 내 인구 재배치가 많아 ‘제로섬’이라는 평가가 지배적이다. 당초 경북도가 목표로 설정한 1단계 정주인구 2만5000명에 근접했지만, 생활 인구와 실거주 인구간 괴리는 여전하다.

도청 신도시의 상권은 중심상권, 서문상권, 호명읍 상권으로 분산돼 있다. 구조적으로 상권 간 연결성이 떨어지고 공무원 중심의 유동 인구로 인해 점심시간 이후 상권이 급격히 침체된다. 상가 공실률은 30%를 넘는다는 분석도 있으며, 실제 체감은 그보다 높다는 상인들의 증언도 있다.

여기에 부채꼴형 도로망과 숲으로 가로막힌 상권 구조는 유동 인구의 흐름을 단절시키고 있다. 일부 상권은 ‘유령 거리’로 불릴 정도로 활력을 잃고 있으며, 2단계 개발이 본격화되면 기존 상권과의 경쟁 심화도 우려된다.

교육 인프라 역시 도청 신도시의 취약점으로 꼽힌다. 중·고등학교는 부족하고, 청소년 문화시설도 미비하다.

경북도는 최근 안동·예천을 ‘교육발전특구 시범지역’으로 지정하고 수도권 수준의 공교육 제공을 목표로 하고 있다. 하지만 현장에서는 통학 불편과 교육 인프라 부족을 호소하는 목소리가 크다. 젊은 가족들이 정착하기엔 여건이 부족하다는 지적이 이어지고 있으며, 이는 인구 유입 정체와도 맞물려 있다.

초등학생 자녀를 둔 주민 김모씨(38)는 “학교도 멀고 학원은 거의 없다. 방과 후에 갈 만한 문화시설도 없어서 아이가 집에만 있는 시간이 많다”며 “도청이 있는 도시라면 교육부터 제대로 갖춰야 하는 것 아닌가”라고 불만을 토로했다.

도시계획의 구조적 한계도 문제로 지적된다. 

자연 친화적 도시를 목표로 숲을 보존한 채 개발이 이뤄지면서 상권 사이가 물리적으로 단절됐고, 곡선형 도로망은 상권 간 접근성을 떨어뜨렸다. 이는 유동 인구의 자연스러운 이동을 막고 상권 활성화에 걸림돌이 되고 있다. 상인들은 “도시가 사람을 불러들이지 못한다면 상권은 살아날 수 없다”고 말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도청 신도시는 여전히 가능성을 품고 있다. 2단계 공동주택 5000여 가구의 분양이 예정돼 있고, 안동 바이오 국가산단이 2028년 준공되면 배후 도시로서의 역할이 기대된다. 경북도는 교통망 확충과 교육 인프라 개선, 소상공인 지원 정책 등을 통해 도시의 활력을 되살리겠다는 입장이다.

경북도 관계자는 “도청 신도시는 아직 성장 중인 도시”라며 “인구 유입과 정주 여건 개선을 위한 정책에 행정력을 집중하고 있다”고 밝혔다.

/피현진기자 phj@kbmaeil.com

사회 기사리스트

더보기 이미지
스크랩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