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소기업 대부분이 외국인근로자 고용을 국내 인력난 완화에 도움이 될 것으로 내다봤다.
16일 중소기업중앙회가 외국인근로자를 고용한 중소기업 503개사를 대상으로 실시한 ‘2025년 외국인근로자 고용 사업주 대상 의견조사’ 결과에 따르면 대다수 기업이 외국인근로자 고용을 유지하거나 확대할 계획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국내 근로자 채용의 어려움과 구조적 인력 부족이 주요 원인으로 분석됐다.
응답 기업의 93.8%는 국내 근로자 채용이 어려워 외국인근로자를 고용한다고 답했다. 인건비 절감을 이유로 꼽은 기업은 2.6%에 그쳐 외국인근로자 고용이 저출산·고령화에 따른 인력난 해결 수단으로 작용하고 있음을 시사했다.
향후 고용 계획에 대해 98.2%의 기업이 유지 또는 확대할 것이라고 응답했으며, 이 중 38.2%는 확대 의사를 밝혔다. 확대 시 평균 채용 계획 인원은 6.5명으로 조사됐다. 향후 3년간 고용허가제 수요 전망에 대해 55.5%가 증가할 것으로 예상하며, 감소 전망은 2.8%에 그쳤다.
외국인근로자 선호 국가로는 60.8%가 기존 활용 근로자와 동일 국적을 선택했고, 이는 인력 관리 효율성 때문으로 분석됐다. 성실성 및 인성(8.7%)도 고려 요소로 언급됐다.
2023년 9월 도입된 K-point E74 비자 전환 제도의 애로사항으로는 △한국어능력시험(TOPIK)·사회통합프로그램(KIIP) 인프라 부족(27.4%) △행정비용 부담(20.8%) △서류 절차 불편(12.5%) 등이 지적됐다.
주 4.5일제 도입시 예상되는 영향으로는 42.1%가 납기 준수 어려움을, 24.1%는 인건비 부담 증가를 우려했다. 4%는 현실적 시행 불가능이라고 답했다.
이명로 중소기업중앙회 인력정책본부장은 “외국인근로자 고용 확대가 중소기업의 인력난 완화에 기여할 것”이라며 “주 4.5일제 도입시 업종·규모별 특성을 고려한 논의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이번 조사는 2024년 외국인근로자를 고용한 50인 이상 사업체를 대상으로 7월 2주간 실시됐다.
/김재욱기자 kimjw@kbmaeil.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