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I, 울릉도 관광 위기 진단 비싼 요금·불친절, 숙박 등 불편 체류형 관광·통합 플랫폼 중심 투명성 확보·다각적 대책 절실
울릉도를 찾는 관광객들이 해마다 줄어드는 가운데 여객선마저 중단되면서 우려의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다. 2022년 46만명에 달했던 울릉도 관광객은 2024년 38만명으로 감소했고 2025년 상반기에는 16만 9000명에 그치고 있다.
울릉도 관광객이 줄어드는 이유는 여러가지가 있겠지만 코로나 19 이후 단체 관광이 아닌 개인관광중심으로 변화된 흐름에 울릉군이 제대로 대처하지 못했다는 지적이 높다. 또한 높은 물가와 접근성이 떨어진다는 점도 관광객 감소의 주요원인으로 꼽히고 있다.
부실한 관광서비스 문제도 한 몫하고 있다. 삼겹살 비계 논란이나 숙박업소의 시설 문제, 혼밥 거절 등은 다소 과장된 측면이 있지만 울릉도 숙박 및 서비스 업체의 바가지나 서비스 부재는 이미 오래전부터 논란이 된 불편한 진실이기도 하다.
AI는 산적한 울릉도 관광문제에 대해 어떤 답을 내놓았을까? 우선 여객선 운항 중단을 막는 ‘긴급 결손보전펀드'를 가동할 것을 권고했다. 중앙(해양수산부)·광역·지방 공동 재원으로 한시적 결손보전(브리지 펀드)을 편성해 최소 필수 항로 운항을 보장하라는 것이다.
또한 대형선만 고집하지 말고 수요에 맞춰 소형·중형선을 혼용해 평일·비수기 운항비용을 낮추고 일정 유연화로 결항 위험을 줄일 것을 제안했다.
유튜브 ·SNS 모니터링팀을 즉시 꾸려 논란성 게시물은 48시간 내 사실관계(업체 진술·영수증·현장점검 결과)를 공개해 루머 확산을 차단하라고 조언했다.. 더불어 식당·숙박의 표준가격 표기 의무화 및 ‘울릉 투명가격’ 인증 라벨 도입. 소비자 신고창구 설치할 것도 권유했다.
장기적인 관점으로 울릉도의 체류형·고부가 관광상품 출시를 제안했다. 1박 이상 체류를 유도하는 ‘로컬 체험(낚시·해초·약초 탐방)’, 생태·웰니스·리트릿 상품을 개발해 1인당 소비와 체류일수를 늘리라는 것.
사전 브리핑과 가이드라인을 준수하는 검증된 리뷰어 중심으로 크리에이터 유튜버 언론인 등을 초청해 사실 기반의 긍정 스토리를 생산할 것도 주문했다. 자체 다큐·시리즈로 섬의 강점을 꾸준히 노출하는 것도 장기적 관점에서 울릉도 관광에 긍정적 요소로 작용할 것이라고 밝혔다.
AI는 통합 예약 플랫폼을 구축할 것도 제안했다 좌석·운임·수요를 실시간 관리하면 결항·초과수요 리스크를 줄어든 다는 것.
AI의 조언이 절대적인 것은 아니지만 속도있는 협업을 강조한 것은 새겨들어야 할 부분이다. 핵심은 중앙·지방·선사·업계가 우선순위를 맞추고 빠르게 실행하는 것이다. 뱃길을 지키지 못하면 회복의 기회 자체가 사라진다. 동시에 이미지와 상품 구조를 바꾸지 않으면 단기적 지원은 일시적 처방에 그친다. 운송안전과 신뢰회복이 동시에 이루어져야 울릉도 관광 회복의 모멘텀(계기)이 만들어 질것이다.
/최병일기자 skycbi@kbmaeil.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