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창균 가톨릭이비인후과 원장
우리 인체 중 귀는 비록 그 크기는 작지만 신체의 평형과 청각을 담당하는 매우 중요한 기관이며 크게 외이와 중이 그리고 내이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만성 중이염이란 이 중에서 중이의 만성적인 염증 상태를 일컬으며 고막의 천공 및 난청과 더불어 때때로 귀에서 고름이 흘러나오는 귀찮은 질환으로 우리나라 전 국민의 약 3% 정도가 앓고 있다고 하는 매우 흔한 질환입니다.
이 질환은 난청으로 인한 의사소통의 장애 뿐 아니라 방치할 경우 난청의 악화와 함께 현기증, 뇌수막염 등 여러 합병증을 유발하며, 귀에서 고름이 나옴으로써 생활에 큰 불편을 초래하는 질환입니다.
원인은 일반적으로 알려진 바와는 달리 바깥에서 물이 들어가서 생기는 경우는 극히 드물고 대부분 소아에서 급성 중이염을 앓은 후 잘 치유되지 않았을 때 만성 중이염으로 진행하게 됩니다.
소아에서의 중이염은 감기 등을 앓은 후 이차적으로 발생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며 이중에서 약 10% 정도가 만성적인 질환으로 넘어가게 되므로 이 시기의 적절한 치료가 매우 중요합니다.
치료는 귀에서 고름이 나오는 경우 약물치료 및 귀의 세척 등으로 고름을 멈추게 할 수는 있으나 이는 일시적인 해결 방법에 지나지 않습니다.
만성 중이염의 경우 고막의 천공 및 소리를 전달하는 뼈에 만성 염증과 변형이 생기기 때문에 감기를 앓거나 몸이 피곤하다거나 또는 귀 안으로 오염된 물이 들어오는 경우 고름의 재발을 피할 수 없게 됩니다.
따라서 구멍 난 고막과 소리를 전달하는 뼈의 재건 및 병든 조직을 제거해 주는 수술만이 근본적인 해결책이 되며 이렇게 함으로써 난청의 회복과 함께 병의 재발을 막을 수 있습니다.
과거 시행했던 수술은 대부분 귀의 뒤쪽을 절개하는 이후부 절개술을 통하여 시행되어 왔습니다. 따라서 수술 후에 어느 정도의 통증이나 부종 및 귀의 감각이상 등은 당연시 되어 왔으며 흉터도 수술에 동반되는 어쩔 수 없는 결과로 인식되어 왔습니다.
그러나 최근 바깥쪽의 절개 없이 귓구멍 안을 통한 외이도내 절개를 통한 수술 기법이 크게 발달함으로써 앞에서 언급한 수술 후의 통증과 부종, 귀의 감각이상 그리고 흉터를 없앨 수 있게 되었으며 환자의 신체적 손상을 최소화하고 시간 및 경제적 손실까지 최소화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