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로가기 버튼

허리 통증·다리 저림 전조 증상 조기 진단으로 일상 지켜내야

등록일 2025-09-01 19:41 게재일 2025-09-02 12면
스크랩버튼
보이지 않는 암살자, 흉추 신경협착증
하지에 힘이 빠지거나 감각 떨어져
흉추 이하 신경망 전체 무너질 수도
Second alt text
척탑병원 방우석 센터장.

척추신경외과 의사가 외래 진료실에서 가장 흔히 접하는 환자의 질환은 경추(목)와 요추(허리) 부위의 문제다. 이 부위의 질환은 비교적 전형적이고 뚜렷한 증상을 보이기 때문에, 정밀 검사를 진행하기 전에도 간단한 신체검사만으로 어느 부위에 이상이 있는지 유추할 수 있는 경우가 많다.

그러나 흉추 질환은 다르다. 증상이 애매하고, 환자 스스로도 척추에 문제가 생겼다는 사실을 쉽게 알아차리지 못하는 경우가 많다. 그래서 저는 이 질환을 ‘보이지 않는 암살자’라고 부르고 싶다.

△조용히 다가오는 협착의 그림자

흉추는 다른 부위보다 구조가 안정적이어서 협착이 흔하지 않다. 하지만 일단 신경이 눌리기 시작하면 상황은 급격히 달라진다. 보행이 힘들어지고 다리에 힘이 빠지며, 심하면 배뇨·배변 장애까지 나타날 수 있다. 처음에는 단순한 허리 통증이나 다리 저림으로 시작해 대수롭지 않게 넘기기 쉽지만, 그 순간 이미 ‘암살자’는 가까이 와 있는 셈이다.

△신경을 옥죄는 족쇄

신경은 전기를 전달하는 전선과 같다. 전선이 지나가는 통로가 좁아지면 전기가 끊기듯, 신경이 압박을 받으면 신호가 차단되고 기능이 떨어진다. 흉추 협착증 역시 마찬가지다. 신경이 좁아지면 마치 숨통을 죄는 족쇄처럼 움직임이 제한되고 일상의 자유가 서서히 사라지게 된다.

△윗물이 흐려지면 아랫물도 흐려집니다

요추 협착증이나 추간판 질환은 보통 한쪽 다리에 국한된 방사통으로 먼저 나타난다. 이 때문에 환자 스스로도 허리에 문제가 있음을 비교적 빨리 인식할 수 있다. 하지만 흉추에 문제가 생기면 양상이 전혀 다르다. 특정 부위의 국소 통증이 아니라 하지 전체의 힘이 빠지거나 감각이 떨어지는 전반적인 증상으로 나타난다.

“윗물이 맑아야 아랫물이 맑다”는 말처럼, 척추에서 ‘윗물’에 해당하는 흉추에 이상이 생기면 그 아래 모든 신체 기능이 한꺼번에 영향을 받는다. 단순히 허리나 다리 한쪽이 불편한 정도가 아니라, 흉추 이하의 신경망 전체가 무너지는 인프라 붕괴로 이어질 수 있다.

△조기 발견이 일상을 지킵니다

흉추 신경협착증이 무서운 이유는 진행 속도와 증상의 심각성에 있다. 다른 척추 질환보다 늦게 발견되는 경우가 많아 치료 시기를 놓치기 쉽다. 결국 조기 진단이야말로 일상을 지켜내는 가장 중요한 방법이다. 등이 아프거나 걷기가 점점 힘들어진다면 단순한 피로나 나이 탓으로만 여기지 마시고 반드시 전문의의 진료를 받으시길 권한다.

흉추 신경협착증은 드물지만 결코 가볍게 넘길 수 있는 질환이 아니다. 이 글을 읽는 독자 여러분께서는 조용히 다가와 일상을 무너뜨릴 수 있는 이 보이지 않는 암살자의 존재를 한 번쯤 의심해 보시기 바란다. 단순한 의심만으로 병원을 찾으셔도, 한국의 유능한 의사들은 이 암살자를 찾아내고 치료할 수 있다. 결국 몸이 보내는 작은 신호에 귀 기울이는 것이 건강한 삶을 지키는 가장 확실한 방법이다.

이성혁의 열린 시세상 기사리스트

더보기
스크랩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