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로가기 버튼

대경선 타고 구미가는 재미가 쏠쏠하네요

등록일 2025-08-31 17:53 게재일 2025-09-01 12면
스크랩버튼
개통 6개월만에 253만명 이용
Second alt text
구미역사로 들어오고 있는 대경선 열차. /경북매일 DB

“대경선 타는 재미가 쏠쏠합니다”. “경산에서 대구로 가는 길이 10여 분이면 됩니다”. 

대구로 업무상 자주 방문하는 김 모씨(57)는 대경선 개통으로 인해 경산과 대구를 오가는 이동 시간이 단축됐다며 만족감을 드러냈다. 

대경선을 이용해 출퇴근하는 이용자도 크게 증가했으며, 구미에서 대구까지의 접근성이 개선되면서 철도 이용객의 수요가 꾸준히 늘고 있다. 개통 6개월 만에 누적 이용객 수가 253만 명을 돌파하며 대구·경북 지역의 핵심 교통망으로 자리매김한 것이다.

경선은 대구와 경북의 앞 글자를 결합한 이름으로, 비수도권 지역 최초의 광역철도다. 지난해 12월 14일 개통을 시작한 이래 지역민들의 일상 속 필수 교통수단으로 빠르게 정착했다.

총 연장 61.85km 구간을 운행하는 대경선은 경산역, 동대구역, 대구역, 서대구역, 왜관역, 북삼역(건설 중), 사곡역, 구미역 등 총 8개 역을 경유하며, 평일 기준 하루 100회 운행된다.

시민기자는 최근 대구역에서 구미까지 직접 타보았다. 대구지상철(3호선) 타는 것과 같다. 어르신은 통합무임 교통카드를 단말기에 체크하면 무료 탑승이다. 대구역에서 5분쯤 지나니 서대구 역이다.

서대구역을 출발하자 농촌의 비닐하우스와 넓은 들판이 보였다. 승객들 모두 창을 보면서 즐거워하는 표정이다. 왜관을 지날 때 벌통이 나란히 놓여 있는 걸 보면서 양봉의 고장 칠곡이라 생각하고 있는데 구미역에 도착했다. 모두 빠른 걸음으로 시내버스와 택시 승강장으로 향했다.

대경선은 한국철도공사에서 운영관리를 맡는다. 전기 전동열차 2개로 편성돼 1편성 당 80석 정도다. 전동열차는 전 구간을 1시간 이내에 달린다. 최고 속도는 시속 100㎞다.

 

Second alt text
대경선 노선도. /경북도 제공

대경선을 타려면 교통카드를 준비해야 한다. 경로 카드는 대경선과 구미 시내버스도 무임승차다. 일반인은 대경선의 탑승 이동 거리에 따라 요금이 추가된다. 가장 먼 거리 구간인 경북 구미~경산까지가 최대 2800원(기본 요금 1천500원+추가 요금 1300원)이다. 시내버스 이용 후 대경선으로 환승 탑승해 구미~경산까지 이동할 경우 750원(기본 요금 50%)에 추가 요금 1천300원을 합산한 2050원을 내야 한다.

구미시에서는 대경선 개통 후 대중교통을 통한 금오산 방문객 수가 크게 늘어났다. 따라서 구미역과 금오산을 잇는 시내버스 운행 횟수도 늘렸다. 또 구미에서 대구로 유입되는 인구도 증가한 것으로 분석됐다.

금오산을 오가는 기존 4개 노선(27, 27-1, 27-2, 27-3)은 하루 21회 운행했으나 대경선이 개통되며 27-3번 노선에 10회를 추가해 총 31회로 증회했다. 27-3번은 ‘구미역~금오초교~경북외고~금오산’을 운행하는 노선이다.

대구 상인동에 거주하는 70대 어르신 4명이 금오산 케이블카를 타고 점심을 먹으러 다녀오는 길에 대경선을 이용했다고 한다. 이들은 “대경선이 개통됐다는 소식을 듣고 초등학교 동기들과 함께 타보러 왔다”며 “구미가 고향인데 예전에는 KTX를 타고 이동했지만, 이제는 훨씬 편리해졌다”며 만족감을 드러냈다.

대구권 광역철도는 향후 2단계 사업으로 구미에서 김천까지 노선을 연장할 계획이다. 현재 구미~대구 구간이 운영 중인 가운데, 김천까지 연장함으로써 대구와 경북 내륙 지역의 교통망을 더욱 확대하고 지역 간 연계성을 강화할 것으로 기대된다.

/안영선 시민기자

사회 기사리스트

더보기 이미지
스크랩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