만수가 등 많은 내방가가 탄생한 곳···문학기행 의미 높아
내방가사문학회(회장 권숙희)는 지난달 24일 세계문화유산으로 등재된 옥산서원과 양동마을을 방문하는 문학기행을 진행했다. 이번 행사는 내방가사의 뿌리를 탐방하고 전통문학의 가치를 되새기는 뜻깊은 자리로 마련됐다.
권숙희 회장은 “한글의 맥을 이어온 내방가사 여인들의 수고가 헛되지 않기를 바라며, 세계문화유산으로 그 정신을 계승하기를 소망한다"고 말했다. 또한 “회원 모두가 내방가사의 의미를 되새기는 계기가 되길 바란다”고도 전했다.
양동마을은 안동, 현풍, 영천 등 인근 명가와 혼반으로 얽힌 전통 마을이다. 이씨 가문과 손씨 가문을 중심으로 수많은 내방가사가 창작된 곳이다. ‘만수가’ ‘독락당’ ‘학지가’ ‘회재 선생 사모애가’ ‘사모곡’ 등 여러 작품이 이곳에서 탄생했으며, 회원들은 현장을 둘러보며 문학적 자취를 체험했다.
특히 옥산서원에서는 회재 이언적 선생의 14대 후손인 이원균 전 교수가 해설을 맡아 서원의 역사와 학문적 의의를 상세히 전했다. 38도를 웃도는 폭염 속에서도 회원들은 2시간 30분 동안 강의를 경청하며 전통의 정신을 배우는 열정을 보였다. 역사를 배우고 전통을 이해하는 것은 현재를 파악하고 미래를 대비하는 중요함을 시사한다.
옥산서원은 추사 김정희, 한석봉, 퇴계 이황, 아계 이산해 등 당대 명필과 학자의 흔적이 남아 있어 회원들의 관심을 끌었다. 이어 자계천과 계정을 찾은 회원들은 자연과 어우러진 선현의 학문적 경지를 떠올리며 전통의 의미를 다시금 되새겼다. 계정과 어우러진 자계천의 풍광에 도취된 회원들은 잠시 발을 담그며 한낮의 뜨거운 열기를 식히는 호사를 누렸다.
양동마을 무첨당에서는 회원들이 돌아가며 ‘만수가’를, 계정에서 ‘독락당’ 가사를 낭독하여 기행의 의미를 되새겼다. 이언적 선생의 종가 후손인 이윤지 선생 남매분이 일행을 위해 점심과 매실차를 후하게 대접해 일행의 갈증을 달래며 훈훈한 시간을 나누었다.
권숙희 회장은 “이번 기행을 통해 그 의미를 깊이 새길 수 있었다며 앞으로 작품 발표회와 전통 놀이 등을 통해 교류의 장을 넓히길 바란다” 고 했다.
이번 문학기행은 옛 선현들의 학문과 정신을 현장에서 배우고, 내방가사의 가치를 오늘에 되살리는 뜻깊은 자리로 평가됐다.
/김윤숙 시민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