방종현시민기자의 유머산책
국방차관님께 받들어 총!”
“충성!”
대전 국군 의무학교 연병장에서 군의관 임관식이 열렸다.
제병지휘관의 호령에 따라 사열하는 장면인데, 경례를 받는 이는 그날 행사에서 제일 높은 사람이다. 이 장면을 보는 나는 군대를 제대하고 50년이 다 돼가는 예비역 병장으로 오늘은 아들 임관식에 초대받아 앉아 있으니 감회가 새롭다.
사람과 사람 사이에서 가장 흔한 의전은 악수다. 악수는 단순한 스킨십이 아니라, 내 손에는 무기가 없습니다! 하는 신사협정이다.
군대 의전은 말 그대로 ‘칼각’이다. 받들어 총! 할 때 그 총은 수직으로 세워 방아쇠가 상대를 향하게 한다. 이건 총의 처분권을 수례자(受禮者)에게 맡기겠다는 충성심의 징표다.
우리 사회에서 의전 서열이 가장 칼 같은 집단은 단연 군대, 그 다음은 정치판이다. 국가 행사나 면 단위 잔치까지, 자리 배치는 존재감의 공식 등급표다. 대통령 다음은 국회의장, 그 다음은 대법원장, 헌법재판소장 그리고 국무총리···. 이 순서가 잘못되면 분위기가 험악해진다. 실제로 한 헌법재판소장이 참석하러 갔는데 자리가 국무총리 아래로 밀린 걸 보고는 말도 안 하고 돌아간 일화도 있다.
지방의 한 행사에 주둔군 사단장과 연대장이 동시에 초대된 적이 있다. 사회자가 순서를 헷갈려 연대장을 먼저 축사하게 했다. 사단장 얼굴이 굳더니, 끝나고 수행하던 부관 코에서 코피가 났다 한다. 군기 빠지면 코피부터 터진다는 전설이 또 하나 추가됐다
각종 행사 때마다 내빈을 소개하고 격려사와 축사를 부탁한다. 주최 측에서는 참석한 내빈을 예우하는 뜻으로 거의 빠짐없이 연단으로 불러내어 한 말씀하도록 한다. 축사가 너무 길어지면 가끔 짜증스러울 때가 있다. 어떤 사람은 했던 말을 하고 또 하고 또 할 때는 지루함을 느낀다.
내빈을 한 명씩 불러 축사를 시키는데, 무슨 한 말씀 부탁드린다더니 열 말씀, 스무 말씀 하신다. 어떤 분은 “오늘 날씨도 화창하고요” 하길래 고개를 들어보니 하늘은 잿빛이었다. 그저 준비된 멘트는 날씨조차 이긴다.
“어···. 저 뭐냐, 요새 경기도 어렵고, 우시장 국밥도 별로고···. 어쩌고저쩌고···.”말의 앞뒤가 안 맞는 데다 중언부언, 말꼬리만 잡고 놉니다. 그런데도 끊지 않는다.
“끝으로 한 말씀 드리면···.”
그러더니 마지막으로 정말 한마디만 더 하겠습니다.”
청중은 다만 침묵으로 울고 웃을 뿐이다.
그런 가운데 진정한 내빈도 있다. “앞서 좋은 말씀 많이 하셔서 저는 인사로 대신하겠습니다.” 하고 넙죽 절하고 내려가는 분. 이런 분은 진짜 멋진 분이다···. 말이 짧을수록 박수는 길어진다.
사람과 자리는 궁합이 있어야 한다. 인품에 맞지 않는 자리에 앉히면 마치 병아리에 투구 씌운 꼴이다. 문재인 정부 때는 야당의 반대에도 아랑곳하지 않고 부적격자를 28명이나 고위공직에 임명했다. 자리란 사람을 빛내기도 하지만, 사람에 따라 자리가 초라해지기도 한다. 의전이란 겉모습도 중요하지만, 결국 속마음이 따라줘야 진짜 격식이 된다.
우리가 진짜 배워야 할 의전은, 말을 짧게, 마음은 깊게, 그리고 사람을 진심으로 존중하는 것 아닐까?
/방종현 시민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