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도 휴대폰 속에선 충동구매를 부채질하는 광고가 불볕더위만큼 뜨겁다. 휴대폰을 켜는 순간 개인에 맞추어진 알고리즘 광고는 언제라도 거침이 없다. 시민기자도 손안에 들린 전화기 속 화려한 광고에 혹해서 망설임 없이 클릭하고 만다. 너무 쉬운 쇼핑이다. 이렇게 잠깐의 클릭으로 구매한 바지며 셔츠가 여러 개다. 필요한 거였다고 스스로 변명을 하지만 막상 제품을 받으면 몇 번 입지도 않고 이내 심드렁해진다. 처음 광고에서 느꼈던 감흥은 없어진 탓이다.
온라인 쇼핑은 이런 소비를 부추긴다. 소셜 미디어에서 마음에 드는 옷을 발견하면 클릭해서 바로 구입하는 것이 그 어느 때보다 쉬워졌다. 가격이 아주 저렴한 탓에 큰 고민 없이 새 옷을 사고 옷이 많다고 하면서도 옷을 산다. 옷이 없어서 옷을 사는 경우는 거의 없다. 그리고 이렇게 충동구매로 산 옷은 수선하기보다는 몇 번 입어보다 싫어지면 그냥 버리고 다른 새 옷을 구매하는 일이 다반사다.
최근 패스트패션의 유행으로 너무 많이 만들어진 옷은 40% 정도는 그냥 버려지고 전 세계 탄소 배출량도 10%를 차지하고 있다. 그리고 소비량이 생산량을 미처 못 따라가고 있다. 1초마다 트럭 한 대 분량이 버려지고 있는 게 현실이다.
과잉 소비가 아닌 나에게 정말 필요한 만큼만 구입하고 옷은 수선해서 오래 입어보는 생활이 필요한 이유다.
수선은 이런 과잉 쇼핑이 아닌 우리의 옷을 더 오래 입을 수 있도록 도와준다. 옷의 수명을 연장하고 자신만의 스타일로도 표현할 수 있다.
새로 사는 것과 고쳐서 다시 입는 것 사이에서 늘 고민이 되면서도 수선할 때는 쇼핑할 때와는 다른 즐거움이 있다.
수선을 즐겨하는 50대 주부 김희연(포항시 북구 장성동) 씨는 “평소에 새 물건을 잘 사지 않는 편이다. 고쳐서 오래 사용하는 습관이 있는데 아이들이 셋이다 보니 더 그런 것 같다. 수선을 하다 보면 마음이 차분해지고 물건에 생명 연장하는 느낌이 좋다”고 말한다.
수선은 다양한 매력을 가지고 있는데 무엇보다 비용을 절약할 수 있다는 게 가장 큰 장점이다. 새로 옷을 구매하는 것보다는 경제적이고 아끼던 옷을 계속 입을 수 있어 불필요한 소비를 줄일 수 있다. 그러면 자연히 환경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게 된다. 여기다 수선을 통해 자신이 원하는 스타일과 장식으로 자신만의 개성을 드러낼 수 있다. 즉각적인 쇼핑에서 오는 단순한 즐거움이 아니라 만든 사람의 특별함이 느껴지기 때문이다.
가끔 집에 있는 반짇고리로 단추를 달 일이 종종 생긴다. 아이들 교복이며 원피스의 단추가 달랑달랑할 때 바늘과 실로 새로 단 단추를 보면 간단하지만 내 손으로 만든 즐거움이라는 기쁨이 크다. 아끼던 옷에 얼룩이나 자국이 있을 때는 어울리는 다른 조각으로 덮어서 새로운 옷으로 만드는 것도 큰 즐거움이다. 바지가 치마가 된다거나 하는 스스로 수선이 어려운 건 전문가의 도움을 받는다.
손재주가 없어서 직접 수선할 자신이 없거나 귀찮다면 처음부터 옷을 구매하지 않는 것도 하나의 방법이다. 아니면 무심코 ‘구매하기’ 버튼을 누르기 전에 잠시 화면을 끄고 정말 필요한 물건인지 다시 생각해 보는 것이다. 장바구니에 담아 놓는 것도 좋은 방법이다. 만약 꼭 필요한 물건이라면 중고 거래 플랫폼을 이용하는 것도 좋다.
/허명화 시민기자
이 기사는 지역신문발전기금을 지원받았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