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하선 작가의 인도여행 힌두제국 ‘비자야나가르(vijayanagar)’-함피(Hampi)
우리가 보통 ‘인도’ 하면 가장 먼저 떠올리는 것은 ‘힌두교’라고 할 수 있을 것이며, 반대로 ‘힌두교’하면 ‘인도’를 생각하지 않을 수 없을 것이다. 그만큼 인도와 힌두교는 불가분의 관계에 놓여있다. 또 그 힌두교가 인도 사람들의 생활속에 깊은 뿌리를 내리고 있는 것이 오늘의 현실이기도 하다.
아이러니한 것은, 가장 왕성한 꽃을 피웠을 그 힌두의 본고장에도 힌두문화의 많은 유산들이 폐허화되어 방치된 곳들이 상당히 많다는 것이다. 그 중에는 지금 찾아가고 있는 곳처럼 과거 대 제국을 이루어 엄청난 규모와 찬란한 문화를 말해주는 곳도 포함되어 있으니까 말이다.
1336년 테구르 부족이 세운 ‘비자야나가르’ 제국
남부 최대 제국 ‘부상’ 이슬람국가 방벽역할 맡아
1565년 이슬람연합국에 패배 이후 몰락의 길로…
거친 광야에 남아 있는 탑 ‘고프람’•신전 ‘비탈라’
사원 ‘비루팍샤’ 등 힌두문화 순례의 발길 이어져
인도 남부의 ‘비자야나가르’. 지금 찾아가고 있는 함피 마을을 중심으로 1336년에 ‘퉁가바드라’ 강변에 ‘테루구(Telugu)’라는 군소 부족의 두 왕자 ‘하리하라’와 ‘부카’라는 힌두교도가 세운 왕국이다. 이때를 ‘상가마 왕조’라고 하는데 건국후 얼마 되지 않아 인도 남부지방에서 가장 큰 제국이 되었다. 이것은 곧 북부에 있는 이슬람 국가들의 침략을 막는 방벽 역할을 함으로써 12-13세기에 혼란과 분열을 겪은 힌두교도의 생활과 행정을 재건하는데 큰 이바지를 하게 된 것이다.
비자야나가르인들은 이슬람교도들을 개인적으로 배척하지 않았기 때문에 접촉을 통해 문물을 받아들였고, 이것은 새로운 사상과 풍부한 창조력의 바탕이 되었다. 나라를 통합하는 원동력으로서 산스크리트 사용이 장려되었고, 지방문학이 꽃을 피웠다. 이렇듯 국경 지역을 제외한 후방에서는 유래가 없을 정도의 평화와 번영을 누려 왔다. 그 전성기 시절은 툴루바 왕조의 ‘크리슈나 데바 라야’의 제위기간으로써 아라비아해에서 뱅골해까지, 데칸고원에서 인도반도의 끝까지를 다스렸다.
하지만 그의 후계자 시대에 접어들면서 이 비자야나가르 제국에 대항하는 이슬람 세력들이 연합하기 시작했고, 1565년 그 이슬람 연합군과의 전투에서 패배하여 결굴 모든 것이 무너져 내리고 말았다. 그 후 쇠퇴해진 국력을 수습하기는 했으나 겨우 명맥만 유지 해 오다가 1614년 내분과 이슬람 슐탄들의 음모를 견디지 못하고 결국 그 화려한 막을 내리고 말았던 것이다. 오늘날 그 유산들만이 이곳 함피 일대를 비롯하여 남인도 각지에서 애잔한 모습으로 지난날을 얘기해 주고 있다.
가는 날이 장날이라고 ‘산크라망’이라는 축제가 열리고 있는 이곳은 온 사방에 커다란 바윗덩이들이 어지럽게 뒹굴고 있다. 자연 환경이 남다른 곳임을 한눈에 알 수 있게 한다. 그 사이 사이로 나 있는 길들을 따라 수많은 사람들이 한 곳으로 몰리고 있었다.
마을의 중심이라고 할 수 있는 바자르(시장)가 있는 곳이다. 그 바자르의 끝이라고도 할 수 있고 처음이라고도 할 수 있는 곳에 높이가 52m나 되는 거대한 힌두교식 탑이 우선 분위기를 압도하면서 ‘비자야나가르’ 제국 당시의 영광을 대변하고 있는 듯 했다. 수많은 조각으로 뒤엉킨 이러한 탑을 ‘고푸람(Gopuram)’이라고 하는데, 남인도 일대에서는 흔히 볼 수 있는 것이다.
이같은 고푸람은 사찰로 들어가는 입구에 세워져서 그 밑으로 나 있는 문을 통해 사람들이 드나들게 되어 있다. 여기도 마찬가지로 바자르에서 신에게 바칠 예물 즉, 섬유질을 벗겨 낸 야자, 바나나, 꽃 등을 담은 조그마한 바구니를 하나씩 사든 순례자들이 이곳을 통해 ‘비루팍샤(Virupaksha)’사원 안으로 줄을 잇고 있었다.
그들은 신 앞에 이르러 준비해 온 야자를 그 자리에서 내리쳐서 쪼갠다. 그리고 그 야자 물을 자신의 머리에 바르기도 하고, 살짝 입에 적시기도 하다가 신에게 그 야자 물을 모두 붓어내리면서 무언가 축복을 빌었다. 그래서 그 주변은 항상 야자 물로 흥건해 있다.
누구나가 사원 내에서는 맨발로 다니기 때문에 이 사정을 잘 모르는 이방인이 볼 때는 이것이 대단히 지저분하게 느껴지기도 한다. 또 중앙 홀에 모셔져 있는 신전에서는 신도들이 둘러서서 무언가 알 수 없는 이상한 소리로 노래를 부르는 등 열광하면서 사제가 신이 내린 불꽃을 받아 오는 것을 기다리고 있었다.
그러다가 사제가 불판을 들고나오니 모두들 그 불꽃에 손을 적시듯 하면서 역시 무언가를 중얼거린다. 이러한 광경은 남인도 지역의 다른 힌두교 사원에서도 흔히 볼 수 있는 것이다. 하지만 너무도 원시적으로 비쳐지는 이러한 광경은 마치 ‘인디아나존스’ 영화의 한 장면을 대하고 있는 것 같은 신비감을 준다.
이곳 비자야나가르 유적 중에서 가장 관심을 끄는 곳은 단연 퉁가바드라 강변에 있는 ‘비탈라(Vittala )‘ 신전이다. 이곳에는 세 개의 건물이 들어서 있는데 두 개는 신전이고 중앙에 있는 것은 궁전이다. 비교적 온전한 모습으로 남아 있는 이들은 그 기둥들에 머리는 용이고 몸은 사자인 기이한 동물이 조각되어 있는 것이 일품이다. 또 신전 마당에는 금방이라도 굴러 갈 듯한 ‘돌마차(Stone Car)’ 라는게 있는데 돌을 다루는 솜씨가 마치 나무를 다루는 듯해 석조 예술의 극치를 말해 주고 있다.
그런데 여기서 나를 진정 놀라게 한 것은 중앙에 있는 궁전 건물이었다. 물론 그것은 조각의 섬세함을 말하는 것은 아니다. ‘음악 궁전(Music Palace)’이라고 한다기에 처음에는 ‘이곳에서 악기를 켜면서 춤추고 노래하며 놀았는가 보지?’하고 평범하게 생각했는데 그렇게 평범한 게 아니었다. 먼저 이곳의 구조를 말하자면, 중앙에 홀(Hall)이 있고 그 둘레에 여러 개의 돌기둥들이 있는데 그 각 기둥들에는 또 다시 여러 개의 작은 기둥들이 마치 현악기의 현(絃)처럼 조각되어 있다.
또 각 기둥들마다 인도 전통의 타악기를 연주하고 있는 사람이 조각되어 있는데 이것은 모두 하나의 돌로 연결되어 있는 것이다.
“자, 여기를 두드려 볼 테니까 무슨 소리가 들리는가 귀를 대고 들어보세요?” 하면서 그 관리인이 손 때가 묻은 작은 돌기둥 하나를 손가락으로 가볍게 두드렸다. 혹시나 하고 귀를 기울이고 있는데 아, 놀라웁게도 그 돌기둥에서 어떤 울림이 들렸고 그 소리 또한 꽤 맑았다. 그 뿐만이 아니었다.
안내인은 계속 다른 기둥들을 돌아가면서 두드렸는데 기둥마다 소리가 달랐고, 손가락의 놀림에 따라 음악이 연주되어 울려 났다. 가장 놀라게 한 것은, 각 기둥에 조각되어 있는 타악기를 손가락으로 두드리면 실제 그 악기의 소리가 울려 났다. 그러니까 북을 치면 북소리가, 장고를 치면 장고 소리가 나는 식으로 서로 다른 소리가 울려 나는 것이다.
“제국 시절에 여러 악사들이 아무런 실제 악기도 없이 이 기둥들을 두드리면서 음악을 연주하고, 중앙 홀에서는 그 음악에 맞춰 무녀들이 춤을 추고 놀았지요. 이곳은 이 일대에 남아 있는 비자야나가르 유적들 중에서 최고의 예술품일 뿐만 아니라 인디아에서 가장 귀중한 유물 중의 하나입니다. 또 유네스코의 세계 보존 문물로도 지정되어 있습니다. 그래서 보존상 누구나 함부로 두드리는 것을 금지하고 있는데 오늘 당신에게는 특별한 써비스를 한 것입니다.”
거친 광야에서 시시각각 다가서는 신전들을 기웃거리면서 순례의 발길은 이어진다. 언덕을 오르내리는 발길에 그늘 하나 없어 뜨겁고 팍팍하기만 하다. 대부분의 힌두인들은 순례를 통해 죄악이나 오염으로부터 벗어나거나 종교적 공덕을 유지하여 내세에서는 하늘에 태어나기를, 더 나아가 윤회에서 해탈하기를 바란다.
수로를 건너고 바나나 밭을 지나니 이번에는 좀 색다른 건축물이 다가섰다. 지도를 보니 ‘하자리 라마 사원(Hajari Rama Temple)‘과 ‘연꽃 궁전(Lotus Mahal)’, 그리고 ‘여왕의 목욕탕(Queen‘s Bath)’ 등이 표시되어 있었다. 모두가 왕궁터 안에 자리하고 있는데, 석조 건축물이긴 마찬가지이지만 양식이 힌두와 이슬람의 혼합 양식이었다. 그러니까 이슬람의 침공 이후 그 영향하에서 건축된 것으로 보여진다. 어떠한 문명도 한 번 힌두 속으로 들어오면 그 힌두에 동화되어 버린다고 하는데 이러한 곳들이 그런 사례인 것 같다고나 할까.
이렇듯 몇 발자욱 옮길 때마다 나타나는 것이 신전 아니면 궁전 등이다. 그 신전에 모셔져 있는 신들의 형태도 어떤 곳은 원숭이 모습을 한 ‘하누만’과 부와 행복을 가져다준다고 해서 매우 인기가 높은 꼬끼리 모양의 ‘가네쉬’ 등의 동물 모양의 형상들도 거대한 모습으로 모셔져 있어 ‘에니미즘’을 비롯한 원시종교의 일 면까지도 포함하고 있는 것이 힌두교임을 깨닫게 한다.
소달구지를 타고 원점으로 돌아와서 함피 마을과 비루팍샤 사원이 잘 내려다보이는 헤마쿠타 언덕 위에 올랐다. 해가 서쪽으로 기울면서 옅은 안개를 만들어 내고 있다. 황포의 도우티를 두른 한 힌두 사두가 석양빛에 잠겨 있다. 그가 어디에서 와서, 지금 무슨 생각에 잠겨 있는지, 또 앞으로 어디로 갈 것인지를 묻지 않아도 알 수 있는 길이 있다면 그것은 무엇일까?
그것을 알기 위해 우리는 살아야 되지 않을까? 당시의 비자야나가르인들 뿐만 아니라 지금의 인도인들을 이해하려면 힌두교에 대한 이해 없이는 어렵다는 것을 실감한다. 안개 속의 고푸람이 더욱 지난 비자야나가르 제국의 세계로 빨려들게 한다.
/ 정리 최병일기자 skycbi@kbmaeil.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