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찰, 합동 현장 감식 진행 소음 적은 전기열차인 탓도 경보앱은 작동 했으나 참변
청도군 화양읍 경부선 철로에서 발생한 열차 사고와 관련, 경북경찰청을 비롯한 관계기관이 20일 오후 합동 현장 감식을 실시했다.
이번 사고는 무궁화호 열차가 선로 점검 중이던 작업자 7명을 뒤쪽에서 치어 2명이 숨지고 5명이 중경상을 입은 참사로 철도 안전 시스템에 대한 근본적인 재검토가 요구되고 있다.
이날 오후 1시 15분부터 약 1시간 동안 진행된 감식에는 국토교통부 항공철도사고조사위원회를 비롯해 경북경찰청, 대구지검, 고용노동부, 안전관리공단 등 20여 명이 참여했다. 감식팀은 사고 지점의 지형, 기관사의 시야 확보 가능성, 열차 접근 경보 앱 작동 여부 등을 집중 조사했다.
사고 현장은 풀숲이 우거진 커브 구간이어서 기관사가 작업자들을 인지하기 어려웠던 것으로 추정된다. 작업자 7명 중 4명은 열차 접근 경보 앱을 소지하고 있었고, 사고 당시 앱은 작동된 것으로 확인됐다.
그러나 전기열차 특성상 소음이 적고, 작업자들이 철로 위를 따라 줄지어 이동하던 중 열차가 접근하면서 참변이 발생한 것으로 보인다.
경찰 관계자는 “무궁화호 본체 폭이 280㎝인데 레일 폭은 155㎝이다. 레일 밖으로 튀어나온 열차 본체에 근로자들이 충격을 받았을 것으로 추정된다”며 “사고 현장 확인 결과 곡선 코스가 많아 육안으로 열차가 오는 것을 확인하기가 쉽지 않았을 것”이라고 밝혔다.
경찰은 청도경찰서에 수사본부를 설치하고 30여 명 규모의 전담수사팀을 구성해 사고 원인과 책임 소재를 조사 중이다. 검찰도 검사 6명으로 구성된 전담팀을 운영하며, 고용노동부는 산업안전보건법 및 중대재해처벌법 위반 여부를 살피고 있다.
특히 코레일과 협력업체의 작업계획서 및 계약서도 확보해 안전 매뉴얼 준수 여부와 현장 관리 실태에 대한 조사도 병행하고 있다. 또 코레일의 안전점검 작업계획서 등을 토대로 사고 당시 근로자 보호를 위한 안전대책이 마련됐는지, 현장에서 실행됐는지를 확인할 방침이다.
/피현진·심한식기자 phj@kbmaeil.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