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무형·자연유산 3개 위원회 142명으로 구성···지역 유산 정책 본격화
경북도가 지역 내 국가유산의 체계적인 보존과 활용을 위한 대대적인 정책 강화에 나섰다.
경북도는 19일 ‘문화유산위원회·무형유산위원회·자연유산위원회’ 등 3개 위원회를 공식 출범시키고, 관련 분야 전문가 142명에게 위촉장을 수여했다.
이번에 구성된 위원회는 각 분야별로 전문성과 현장 경험을 갖춘 인재들로 채워졌으며, 앞으로 2년간 경북 지역의 국가유산 지정, 보존·관리, 활용에 관한 조사 및 심의, 정책 자문 등의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먼저 문화유산위원회는 건축, 동산, 민속, 박물관 등 4개 분과로 나뉘며 총 98명(위원 46명, 전문위원 52명)으로 구성됐다. 무형유산위원회는 전통예술, 생활기술 등 무형문화유산 분야 전문가 24명(위원 13명, 전문위원 11명)이 참여하며, 자연유산위원회는 생태·지질·경관 등 자연유산 분야의 전문가 20명(위원 11명, 전문위원 9명)으로 꾸려졌다.
경북도는 위원회 구성 과정에서 기존 위원의 경험과 신규 위원의 참신함을 적절히 조화시키는 동시에 학계·연구기관·현장 전문가 등 다양한 배경의 인재를 고르게 선발해 균형 있는 자문과 심의가 이뤄질 수 있도록 했다.
이번 위원회 출범은 단순한 자문기구 이상의 의미를 가진다. 경북도는 위원회를 통해 지역 내 우수한 문화유산의 지속적인 발굴과 유네스코 세계유산 등재 지원, 무형유산의 전승 및 보전, 자연유산의 체계적 관리와 활용 등 국가유산 정책의 핵심적 추진 동력으로 삼을 계획이다.
문화유산위원회 위촉된 위원들은 한 목소리로 “경북은 신라와 조선의 흔적이 공존하는 유일한 지역으로 건축유산만 해도 전국적으로 손꼽히는 가치가 있다. 위원회 활동을 통해 지역민과 함께 숨 쉬는 문화공간으로 재탄생시키는 데 힘을 보태고 싶다”고 포부를 밝혔다.
양금희 경제부지사는 “새롭게 구성된 위원회가 전문성을 바탕으로 도민과 함께하는 국가유산 보존·활용 정책을 펼쳐 세계인에게 사랑받는 경북 국가유산으로 발전시켜 주길 기대한다”고 밝혔다.
경북도는 향후 각 위원회의 전문적 자문과 심의를 바탕으로 지역의 소중한 국가유산을 다음 세대에 온전히 전하고, 이를 문화·관광·교육 자원으로 폭넓게 활용하는 정책을 지속적으로 추진할 방침이다.
특히 경북은 안동 하회마을, 경주 역사유적지구 등 이미 세계적으로 인정받은 유산을 보유하고 있어, 이번 위원회 출범이 지역 유산의 국제적 위상 강화와 지역 경제 활성화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기대된다.
/피현진기자 phj@kbmaeil.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