레드클라렛·골드스위트·글로리스타 차세대 포도 주자로 우뚝 단일품종 포도 산업 구조 개선, 품종 전환·기술력·브랜드 강화 국내외 공략
우리나라 포도 산업의 중심지인 경북도가 ‘샤인머스켓 일색’의 시장 구조를 탈피하고, 소비자 기호 변화에 발맞춘 신품종 개발로 산업 다변화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17일 경북도에 따르면 경북은 전국 포도 재배면적의 절반 이상을 차지하며, 생산량과 수출량에서도 압도적인 1위를 기록하고 있다. 그러나 전체 재배면적의 60% 가까이가 샤인머스켓에 집중돼, 품종 편중에 따른 시장 리스크가 꾸준히 제기돼 왔다.
이에 경북농업기술원은 지난 10여 년간 자체 품종 개발에 매진해 왔으며, 최근에는 색상·당도·식감·저장성 등 다양한 소비자 니즈를 반영한 8종의 신품종을 선보였다. 특히 ‘레드클라렛’, ‘골드스위트’, ‘글로리스타’는 씨가 없고 껍질째 먹을 수 있는 간편함과 독특한 외관으로 프리미엄 시장에서 주목받고 있다.
이들 품종은 지난 8월 수도권 현대백화점에서 열린 ‘진짜 프리미엄 경북 포도’ 행사에서 첫선을 보였다. 행사 기간 동안 시식회, 품종 설명, 라이브 커머스 방송 등 다양한 마케팅이 펼쳐졌으며, MZ세대와 프리미엄 소비층을 겨냥한 전략이 돋보였다.
수출 시장에서도 성과가 이어지고 있다. 2023년 첫 해외 진출을 시작으로, 현재까지 7개국에 4개 품종이 수출되었으며, 2024년 수출량은 전년 대비 3배 이상 증가했다. 현지 소비자들 사이에서는 ‘샤인머스켓과는 또 다른 매력을 지닌 포도’라는 평가가 나오고 있다.
경북도는 2030년까지 신품종 재배면적을 500ha로 확대하고, 품종별 재배기술 매뉴얼 보급과 현장 컨설팅을 통해 고품질 생산 기반을 강화할 계획이다.
조영숙 기술원장은 “경북이 육성한 포도 신품종은 단순한 품종 개발을 넘어, 산업 구조를 혁신하고 농가 소득을 높이는 새로운 성장 동력”이라며 “국내외 시장에서 프리미엄 브랜드로 자리매김할 수 있도록 기술력과 품종 경쟁력을 지속적으로 강화하겠다”고 밝혔다.
/피현진기자 phj@kbmaeil.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