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로가기 버튼

정부기관·지자체 사칭 사기 기승 “조심하세요”

최진호 기자
등록일 2025-08-13 17:07 게재일 2025-08-14 5면
스크랩버튼
포항지역 소상공인 잇따라 피해
“공공기관·공무원 공식 입찰·계약
전화·문자로 개인 주문 없어 주의”

13일 오전 11시쯤 포항시 북구 용흥동에 있는 건축물 자재 납품 업체에 영천시 복지관장 명의의 공문이 도착했다.

발신자는 경북노인복지센터 구매과였고, 물품 구매 견적서도 첨부돼 있었다. 공문에 적힌 번호로 전화하자 특수소화기 14대가 필요하다고 했고, 업체 측은 물량을 맞출 수 없다고 답했다. 이 담당자는 다른 업체 번호를 알려주면서 물건을 구매·납품해 달라고 했다.

당연하게 관공서의 주문이라고 믿은 업체는 해당 번호로 전화를 걸어 계약금 100만 원을 보냈다. 업체 대표는 뒤늦게 조악한 수준의 공문을 확인하고, 경북노인복지센터에 전화한 결과 사기를 당했다는 사실을 알게 됐다.

포항에서도 정부 기관이나 포항시청 공무원을 사칭한 사기 사건이 잇따라 발생해 각별한 주의가 요구된다.

포항의 한 파크골프 용품업체 대표는 포항시청 노인장애인복지과 소속 공무원에게서 전화를 받았다. 노인 우울증 예방 교육 프로그램에 필요한 물품 중에 파크골프채와 골프공이 빠져 긴급하게 구매해야 한다는 내용이었다. 지난 5일 휴대전화 문자메시지로 포항시장 직인에다 담당 주무관 이름이 적힌 물품구매확약서까지 보내오자 그대로이 믿었다.

그러나 자신을 공무원으로 속인 사기꾼이었고, 업체 대표는 275만 원의 손해를 봐야 했다. 그는 “공무원이라고 자신을 소개한 피의자는 정중한 말투를 사용한 데다 정식 공문서까지 모방해 보내왔기에 속을 수밖에 없었다”고 했다.

포항시 북구 죽도동 사진관에서도 비슷한 일이 발생했다. 포항시청 복지정책과의 주무관 명의의 공문에 지역 노인들을 대상으로 장수 사진을 찍는다며 사전 준비금 100만 원을 송금해 달라는 것이었다. 다행히 사진관 대표가 복지정책과에 전화를 걸어 확인하면서 사기범의 소행이라는 사실을 알았다.

포항 뿐 아니라 정부 기관을 사칭한 신종 사기 피해는 전국에서 계속 늘고 있다. 특히 경기 불황으로 어려움을 겪는 소상공인들을 대상으로 집중되고 있어서 피해가 더 커지고 있다.

경찰 관계자는 “정부 기관이나 지방자치단체의 이름을 도용해 신뢰성을 높인다는 점에서 더 각별한 주의가 요구된다”고 말했다.

포항시 관계자는 “공공기관이나 공무원이 제품을 구매할 때 반드시 공식적인 입찰 또는 계약 절차를 거치고, 전화나 문자로 개인 명의의 주문을 요청하는 일은 없다”라고 설명했다.

/최진호 기자 fair199500@kbmaeil.com

사회 기사리스트

더보기 이미지
스크랩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