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로가기 버튼

직립보행이 남긴 척추질환, 이제는 UBE 수술이 해법

등록일 2025-08-04 18:13 게재일 2025-08-05 12면
스크랩버튼
척추관 협착증의 진단과 치료
Second alt text
척탑병원 방우석 센터장.

△인류의 진화와 척추 수술

인류가 유인원에서 분화하여 직립보행을 시작한 건 약 6백만~7백만 년 전쯤이라고 한다. 이 시기를 시작으로 우리의 척추는 S자형 곡선을 가지게 되었고, 골반은 짧고 넓은 형태로 진화했다.

이러한 진화는 인간에게 두 팔을 자유롭게 쓸 수 있는 큰 이점을 주었지만, 동시에 척추에 가해지는 중력의 압력을 감당해야 한다는 새로운 과제를 남겼다. 그 결과로 지금 우리가 겪는 다양한 척추 질환—척추 전방 전위증, 추간판 탈출증, 척추 측만증 등—은 사실 수백만 년 전부터 이어져 온 인간의 숙제일지도 모른다.

그중에서도 오늘 이야기할 척추관 협착증은 노화와 함께 인대와 디스크가 두꺼워지고 신경이 지나가는 길이 좁아지면서 발생하는 질환이다. 걷거나 서 있을 때 다리가 저리고 아픈 증상이 나타나고, 약물이나 주사치료로 조절되지 않으면 결국 수술이 필요한 경우도 있다.

△“그 수술, 상처가 너무 크지 않나요?”

진료 현장에서 자주 듣는 이야기 중 하나다. “척추 수술은 상처가 너무 크고, 회복도 오래 걸린다던데요?” 많은 분들이 과거의 척추 수술—특히 미세현미경하 감압술을 떠올리면서, 허리를 길게 절개해야 한다는 부담감에 수술 자체를 꺼리곤 한다. 물론 미세현미경 수술은 과거에 비해 정교하고 안전하게 발전해 왔지만, 여전히 환자분들 입장에서는 ‘허리에 큰 상처’라는 두려움이 먼저 앞서는 경우가 많다.

하지만 시대는 바뀌었고, 기술도 함께 진화하고 있다. 이제는 척추관 협착증 수술도 훨씬 덜 부담스럽고 회복이 빠른 방법들이 생겨났다. 그 대표적인 예가 바로 ‘UBE 수술(양방향 척추 내시경 수술)’이다.

△작은 절개, 더 정교한 접근 – UBE 수술

UBE 수술은 허리에 두 개의 아주 작은 구멍을 통해 내시경과 수술 기구를 동시에 넣어 진행하는 수술이다. 기존의 현미경 수술보다 절개 범위가 작고, 수술 부위를 더 넓고 정확하게 볼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무엇보다도 출혈이 적고, 감염 위험이 낮으며, 수술 후 통증도 현저히 줄어 환자분들이 빠르게 일상으로 복귀할 수 있다는 점이 큰 장점이다.

실제로 최근 들어 많은 환자들이 이 UBE 수술을 통해 척추관 협착증을 효과적으로 극복하고 있다. 긴 절개가 부담돼서 수술을 미뤘던 분들도, 이 수술법에 대한 설명을 듣고 나면 생각이 달라지는 경우가 많다.

△기술은 사람을 향해 나아갑니다

우리 몸이 진화하는 데는 수백만 년이 걸렸지만, 의료 기술은 단 몇십 년 만에 믿기 어려울 만큼 발전했다. 한국의 척추 수술 기술은 이미 세계적 수준을 넘어 새로운 방향을 제시하고 있고, 그 중심에 UBE 수술이라는 패러다임이 있다.

혹시 지금 약물과 주사로도 해결되지 않는 척추관 협착증으로 고생 중이라면, “수술은 무조건 크고 무섭다”는 편견을 잠시 내려놓고, 현대 척추 수술이 어디까지 왔는지 전문의를 통해 설명을 듣기를 권한다.

새로운 기술은 언제나 인간을 향해 나아간다는 사실, 잊지 마시길 바란다.

라이프 기사리스트

더보기 이미지
스크랩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