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천의 근원은 당나라 현종 때 도교의 사마승정(647~735)이 기록한 천지궁부도에 기원하며, 우리나라에 들어온 시기는 고구려 보장왕(642~668) 때로 산천에서 경치가 매우 빼어난 곳을 이른다.
또한 이중환의 ‘택리지’ 산수편에는 ‘최치원이 남해 금산에 노닐고 바위에 금산동천이라고 암각 해놓았다‘는 기록이 있는데, 시문에 나타난 선비들의 이상향은 바로 자연 속에서 일상의 고단함을 벗어던지고 이상적인 세계로 가는 길, 바로 선(仙)을 간절히 동경한 것 같다.
전국에는 약 200여 개 동천이 있는데 경북과 경남에서만 140개 정도 있다고 하니 내가 살고 있는 고장에 아름다운 풍경이 많다는 것이 행복하다. 오늘은 그 중 한 곳인 가야산에 숨겨진 동천을 찾아 소개한다.
가야산은 성주군과 고령군, 거창군과 합천군으로 이루어져 있다. 주봉은 상왕봉으로 치인리계곡과 백운동계곡 그리고 홍류동계곡이 있다. 여기서 소개하는 숨겨진 동천의 석문은 홍류동계곡 상류 쪽 해인주유소 앞마당 입구에 있다. 계곡으로 이어지는 샛길 아래에 옥류동천(玉流洞天)이라 암각되어 있다. 크기는 대략 가로 1m 세로 70cm이다.
고운 최치원이 당나라에서 귀국한 뒤 십여 년간 조정에 참여하며 신라 사회의 모순을 개혁하고자 하였으나 실패하고 가야산에 들어와 명명한 명소들. 무릉교, 칠성대, 홍류동, 자필암, 음풍뢰, 취적봉, 완재암, 광풍뢰, 제월담, 분옥포, 낙화담, 첩석대, 회선암, 학사대까지 현재 석문은 8개가 발견되었다.
이후 고려와 조선의 선비들이 앞 다투어 명소를 찾아 둔세시의 차운시를 남겼으며 이때부터 동천의 문화는 우리 고유의 선비문화로 이어져 ‘구곡’과 ‘팔경’ 문화를 낳았다.
특히 가야산은 고운 선생과의 인연이 특별하다. 신라를 뒤로하고 왕건의 세력에 동조할 수 없었던 그는 말년에 가족 모두를 데리고 산에 안겼다. 그리고 동천에서 만난 나무와 바위, 계곡의 물소리와 바람 소리는 그의 현실 세계의 상처를 씻겨주고 마음을 달래어 평안을 선물하였다.
그 결과 그는 유·불·도에 대한 깊은 조예가로 계곡 바위에 갓과 신발만 남겨둔 채 홀연히 신선이 되었던 것이다.
/김성두 시민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