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해위험지역 지속 발굴 등 도민 생명·재산 지킨다
경북도가 올해 총 3379억 원(국비 1690억 포함)을 투입해 도내 143개 을 대상으로 본격적인 재해예방사업에 착수했다.
이번 재해예방사업은 풍수해, 급경사지 붕괴, 재해위험저수지 등 다각적인 위험 요소를 예방하기 위한 선제적 조치로, 경북도는 지난 4일 22개 시·군 재난부서장과 현장 점검회의를 열고 사업 추진 현황과 대책을 집중 논의했다.
이번 점검은 지난 6월 26일 행정안전부의 전국 점검 회의 이후 경북도 차원에서 마련된 자리로, 시·군별 예산 집행 상황과 부진한 사업지구에 대한 문제 해결 방안이 공유됐다.
경북도가 추진 중인 재해예방사업은 △풍수해생활권 정비(25개소, 1063억 원) △자연재해위험개선지구(83개소, 2064억 원) △재해위험저수지(13개소, 91억 원) △급경사지 붕괴위험지역(22개소, 161억 원) 등 총 4개 분야로 지역별 특성과 지형, 과거 피해이력을 반영해 체계적으로 선정했다.
이 자리에서 경북도는 보상 협의 지연에 따른 사업 지체를 방지하기 위해 보상 업무를 전문기관에 위탁할 것을 시·군에 권고했고, 신규 지구 설계 역시 늦어지지 않도록 조속한 추진을 요청했다.
또한 이날 점검에 참석한 시·군 관계자는 일회성 정비나 단순한 치수 사업을 넘어서, 주민이 체감할 수 있는 안전망 구축이 필요하다는 목소리와 함께 지속적 모니터링과 주민 의견 반영이 병행될 때 정책의 완성도가 올라간다는 점을 언급했다.
또한, 계속되는 폭염에 대비해 산불 피해지역 내 임시주거시설, 건설현장, 취약계층 거주지 등에 대한 집중 관리와 인명피해 방지 대책도 요청됐다.
이에 경북도는 필요 시 재난관리기금을 활용한 재정 지원도 아끼지 않겠다는 방침을 정하고 이번 사업을 통해 경북도가 전국 재해예방 정책의 모범사례로 자리매김할 수 있도록 하겠다는 계획이다.
권종협 재난관리과장은 “경북도는 최근 3년간 국비 최대 확보라는 성과를 거뒀지만, 여전히 해소되지 않은 재해취약지가 적지 않다”며 “어렵게 확보한 예산이 적기에 집행돼야 실질적인 효과를 거둘 수 있다. 경북도는 앞으로도 지속적으로 위험 지역을 발굴하고 사업을 추진해 도민의 생명과 재산을 지키는 데 최선을 다하겠다”고 강조했다.
/피현진기자 phj@kbmaeil.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