道 주도 ‘주주형 공동영농’ 성과 경주 안강·상주 함창·의성 안계 평야지대 이모작 농법 전격 도입 벼 단작 시 보다 소득 2배 높아져 도내 21개 지구로 사업 확대 추세
경북의 대표 평야지대들이 벼농사를 넘어 이모작 중심의 농업 대전환을 맞고 있다.
2일 경북도에 따르면 고령화로 인한 인력 부족, 농가 소득 감소 등 농촌의 구조적 문제에 대응하기 위해 경북도가 주도한 ‘주주형 공동영농’이 현장에서 뚜렷한 성과를 내며 확산 중이다.
대표적으로 경주 안강지구에서는 벼 대신 콩과 옥수수를 심고, 가을 이후에는 조사료를 재배하는 이모작 농법이 도입됐다.
“이제 우리도 한번 잘해 볼게요. 농업 대전환, 제대로 한번 보여줄 테니 두고 보이소”
안강지구에서 공동영농을 추진하는 손재익 대청영농조합법인 대표는 지난달 30일 경북형 공동영농 현장 발대식에서 이렇게 말했다. 안강지구는 현재 65ha 규모에 26개 농가가 참여해 벼 단작에 비해 약 2배의 소득 향상이 기대된다.
경주는 공동영농에 선도적으로 나서 2024년 외동지구를 비롯해 올해도 안강지구를 포함한 4개 지구가 추가로 참여하고 있다. 여름철에는 벼 대신 콩, 총체벼, 옥수수 등 다른 작물로 전환하고 겨울철에는 조사료, 보리, 밀을 심는 이모작을 추진하고 있다.
상주 함창지구(102ha, 51호)는 이미 지난해 이모작으로 수익을 올려 오는 7월 말 참여 농가에 수익 배당을 한다.
의성 단밀·안계지구는 청년 농업인들이 주축이 돼 농지를 모아 공동 경작하고 있다. 이곳은 콩, 조사료, 보리 등을 재배하는 새 모델로 주목받고 있다.
이철우 경북지사는 “농업 대전환은 단지 농법의 변화가 아니라, 농촌의 생존을 위한 전략적 변화”라며 “경북형 공동영농이 대한민국 농업의 표준모델이 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강조했다.
2023년 시작된 이 사업은 현재까지 도내 21개 지구(공동영농지구 17곳, 들녘특구 4곳)로 확대됐다. 올해 상반기에는 총 530ha의 벼 재배지가 옥수수 등 다른 작물로 전환됐다. 지역별로 자체 사업계획을 수립하면 곧바로 추진이 가능해 확산 속도도 빨라지고 있다.
경북도는 공동영농 참여 법인과 지자체의 협업을 통해 기계화와 규모화, 이모작을 통한 소득 다각화, 그리고 농업 인력난 해소라는 세 가지 문제를 동시에 해결한다는 전략을 세웠다.
특히 ‘주주형’이라는 방식은 농민들이 법인에 출자하고, 여기에서 발생한 수익을 배당받는 구조여서 자발적인 참여와 안정적인 운영을 뒷받침한다.
김병기 경북도농업대전환과장은 “경주의 안강평야, 의성 안계, 상주 함창 등 3대 평야지대가 변화의 중심에 서 있다”며 “연말에는 사업 우수 시·군을 선정해 포상과 추가 지원도 할 계획이다”고 말했다.
/피현진기자 phj@kbmaeil.com